기획 & 캠페인
17대 대선 투표율 62.9%…역대 최저
상태바
17대 대선 투표율 62.9%…역대 최저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12.19 20:39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7대 대통령선거가 직접선거로 치러진 11차례의 대선 가운데 가장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중앙선관위 집계에 따르면 19일 오후 6시 투표를 마감한 결과, 투표율은 62.9%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2002년 제16대 대선 70.8%, 97년 제15대 대선 80.7%보다 각각 7.9%포인트, 17.9%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대선에서 최고 투표율은 지난 60년 제4대 대선 때 97%였고, 최저투표율은 2002년 16대 때 70.8%였다. 최근래 치러진 두 번의 대선에서 연거푸 최저치 투표율 기록을 갈아치운 셈이다.

직접투표가 부활된 이후 대선 투표율만 해도 87년 13대 대선 때 89.2%를 기록해 가장 높았고, 이후 92년 14대 81.9%, 97년 15대 80.7%, 2002년 16대 70.8%로 꾸준히 하락 추세를 보여왔다.

전문가들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대세론이 일찌감치 형성되는 바람에 유권자들의 선거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졌다는 점을 투표율 저하의 주요 요인으로 꼽고 있다.

선거가 박빙 승부로 진행돼 결과의 예측가능성이 낮을수록 투표율이 높아지는데 이번 대선은 이명박 후보가 꾸준히 40%대 독주체제를 이어오면서 2위 후보와 격차를 유지한 게 투표율 저하로 귀결됐다는 분석이다.

또한 선거전이 BBK 주가조작 의혹사건 등을 놓고 각 후보간 물고 물리는 네거티브전 양상으로 진행됨에 따라 유권자들의 정치 혐오증을 키운 부분도 낮은 투표율의 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선거 막판에 터진 이명박 후보의 광운대 강연 동영상 공개와 이른바 `이명박 특검법' 통과의 효과가 부동층 증가로 인한 투표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정치에 대한 전반적인 무관심 현상이 확산되면서 선거 막판까지 지지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이 10% 이상 존재했고, 선거연령이 만 19세로 낮춰졌지만 정작 젊은층의 투표 참여도는 낮은 점도 투표율 저하의 한 원인이 됐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귀영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실장은 "2002년에는 계층별, 지역별, 세대별로 치열한 대결구도가 형성됐다면 올해는 이런 갈등구조가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윤경주 폴컴 대표도 "유권자들의 이해관계와 결부된 대형 정책공약 이슈가 부재해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16개 시도 모두 투표율이 떨어진 속에서 지역별 투표율 편차가 두드러지게 드러난 점도 관심대상이다.

전국 투표율은 2002년보다 7.3%포인트 하락한 가운데 범여권의 아성으로 여겨졌던 광주(-13.8%포인트), 전남(-11.7% 포인트)의 하락폭은 두 자릿수에 달했다. 서울(-8.6%포인트), 경기(-8.6%포인트) 등 수도권과 부산(-9.3%포인트), 경남(-8.3%포인트) 등 PK 지역의 하락폭도 평균치 이상이었다.

반면 한나라당의 아성이자 이명박 후보의 출신지인 대구(-4.1%포인트), 경북(-3.2%포인트)은 하락폭이 적었고, 울산(-5.6%포인트)과 충남(-5.7%포인트)도 평균치 이하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시.군.구 중 투표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후보의 고향인 전북 순창으로 76.7%를 기록했고, 가장 낮은 곳은 충남 당진(55.6%)이었다. 이명박 후보의 고향인 경북 포항의 투표율은 71.9%, 무소속 이회창 후보의 연고지인 충남 예산의 투표율은 67.3%로 모두 평균치를 크게 상회했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보크 2007-12-19 20:4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