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안면도 '타르덩어리'에서 급성치사성 생물독성
상태바
안면도 '타르덩어리'에서 급성치사성 생물독성
  • 백상진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12.24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는 24일 원유 유출사고 지역에서 수거한 타르 덩어리에 대해 물벼룩을 이용한 독성실험을 한 결과 '급성치사성(急性致死性) 생물독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시민환경연구소로부터 의뢰를 받은 서울대 최경호(환경보건학과) 교수 연구팀이 안면도 꽃지 해수욕장에서 수거한 타르물질을 희석한 물(농도 60㎎/ℓ)에 물벼룩을 48시간 노출시키는 실험을 진행했더니 물벼룩의 절반 이상이 치사해 급성치사성 생물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가 더 낮은 물에서 실험을 진행했을 때 물벼룩의 치사량이 50%를 넘지는 않았지만 죽지 않은 물벼룩들도 물 표면에서 부유하고 움직임이 저하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 같은 실험 결과는 정부가 그동안 '오일볼' 논란을 일으킨 타르덩어리가 휘발성과 독성이 없는 물질이라고 발표한 것과 상반되는 결과여서 이와 관련한 논란이 한층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급성치사성 독성실험은 실험대상 생물의 수명 10% 이내를 실험 기간으로 해서 생물의 치사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이번 실험은 평균 50일 동안 사는 물벼룩의 수명 중 10%(5일) 이하인 2일 동안 진행됐다. 최 교수는 타르물질을 초음파분해(소니케이션)로 물에 녹인 뒤 실험을 진행했다.

   최 교수는 "시험에 쓰인 물의 타르 농도가 오염된 바닷물의 타르 농도보다 높을 가능성이 많고 물벼룩이 바다에 사는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실험 결과만으로 바닷물 속 타르가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할 수는 없지만 이번 실험을 통해 타르 덩어리가 독성이 없다는 방제당국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시민환경연구소는 타르물질이 바닷속 어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안면도 지역에서 채취한 타르물질에 대해 어류독성시험도 진행하고 있다.

   시민환경연구소 최예용 연구위원은 "실험을 통해 안면도 부근의 타르물질이 급성치사성 독성을 가지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방제당국이 이 지역에 남아 있는 원유물질의 방제에 만전을 기해야 하며 해저에 가라앉은 타르덩어리를 수거하기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