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국세청은 서울, 경기, 인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울산에 있는 일정규모(3천㎡ 또는 100개호) 이상의 상업용 건물 4천237동, 36만9천994호와 오피스텔 3천107동, 30만536호 등 총 67만530호의 기준시가를 이같이 결정, 고시했다.
기준시가 고시 대상은 작년의 63만5천944호보다 5%(3만5천호) 증가했고 수도권에 전체 고시대상의 84%(56만5천278호)가 집중돼 있다.
지역별로는 상업용 건물의 경우 서울 10.5%, 경기 5.5%, 인천 10.5%, 대전 6.0%, 광주 7.5%, 대구 7.1%, 부산 7.5%, 울산 6.6% 등이며 오피스텔 기준시가 상승률은 서울 9.3%, 경기 7.7%, 인천 8.0%, 대전 8.2%, 광주 7.0%, 대구 6.8%, 부산 5.2%, 울산 7.8% 등이다.
동(棟) 평균 ㎡당 기준시가가 제일 비싼 건물은 상업용 건물의 경우 서울 중구 신당동의 신평화패션타운(1천411만4천원)이고 오피스텔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의 타임브릿지(565만2천원)였다.
㎡당 기준시가가 가장 많이 오른 건물은 상업용 건물의 경우 서울 서초구 서초동의 현대기림오피스텔로 289.4%(229만2천원→892만4천원) 상승했고 오피스텔 중에서는 한밭오피스텔로 113.3%(54만4천원→116만2천원) 올라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