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해 기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2012·2017·2022년 등 3개 연도의 1분기 미등기임원 현황을 공시한 253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미등기임원의 평균연령은 53.2세로 집계됐다.
2012년 평균연령인 51.7세보다 1.5세 높아진 셈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2년 1분기 66.3%에서 올해 1분기 76.9%로 10.6%포인트(p) 올랐다. 40대 비율은 같은 기간 29.6%에서 17.0%로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IT 업종 미등기임원의 평균 연령이 낮은 편이었다.
네이버 미등기임원 평균 연령이 46.3세로 가장 젊었다. 카카오(46.4세)가 바로 뒤를 이었고 CJ(50.6세), 삼성(52.0세), SK(52.3세), 현대백화점(52.3세) 등도 평균보다 낮았다. CJ, 삼성, SK 등 전통적 대기업들은 경영진 세대교체 작업이 이뤄지면서 임원의 평균연령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림의 미등기임원 평균연령이 56.8세로 가장 높았고 포스코(56.6세), 한진(56.5세), 에쓰오일(55.9세), 영풍(55.9세) 등도 평균연령이 높다.
주요 기업 미등기임원 가운데 최연소는 신동원 농심 회장의 장남인 신상열(29) 상무였다. 이원섭(31) 세방전지 상무보, 이선호(32) CJ제일제당 경영리더, 정재림(32) KCC 이사, 정두선(32) 현대코퍼레이션 전무 등은 30대 초반이다.
미등기임원 가운데 최고령은 윤세영(89) 태영건설 창업회장이었다. 정재은(83) 신세계 명예회장, 오완수(83) 대한제강 회장, 최창걸(81) 고려아연 명예회장, 박일희(80) 광동제약 명예부회장 등도 대표 고령 미등기임원으로 조사됐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