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는 지난 7일 아르헨티나 살타주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의 염수 리튬을 통해 수산화리튬을 상용화 생산하는 2단계 투자사업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승인받았다.
포스코홀딩스는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에 따라 글로벌 이차전지 기업들의 북미 지역 투자가 활발해짐에 따라 국내외 고객사들의 리튬 공급 확대 요청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내년 계획돼 있던 2단계 사업을 앞당겨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2단계 사업의 총투자비는 약 10억9000만 달러(한화 약 1조5000억 원) 수준이며 자금조달은 포스코아르헨티나 및 국내 신설법인에서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2단계 사업으로 생산되는 수산화리튬 2만5000톤은 전기차 약 60만 대에 사용될 수 있는 규모로, 포스코케미칼 및 국내 양극재 생산 기업에 공급될 예정이다.
수산화리튬은 탄산리튬보다 에너지밀도와 용량이 높아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에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 리튬의 64%가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특히 수산화리튬은 대중국 수입의존도가 84%에 육박한다.
포스코홀딩스는 고객사들의 리튬 공급부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1,2단계 투자에 이어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생산 연 10만톤 체제 조기 달성을 위하여 3,4단계 투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또한 염수리튬과 광석리튬,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연산 30만 톤 체제를 완성해 리튬 생산 글로벌 Top 3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전기차 시대 본격화로 전 세계적으로 리튬 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2018년에 선제적으로 아르헨티나 염호를 인수했다. 2020년 말에는 글로벌 염수리튬 전문 컨설팅 업체인 미국 몽고메리로부터 보유 염호의 리튬 매장량이 인수 당시 추산한 220만 톤의 6배인 탄산리튬 기준 1350만 톤임을 확인했다.
채굴 가능성과 수율을 고려하면 최소 280만 톤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3월에는 연산 2만5000톤 규모의 1단계 공장을 착공해 2024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