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는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전력∙공정가스∙연료 사용 절감 ▲공정가스 저감 설비 확대 ▲저 GWP(지구 온난화 지수) 대체 가스 개발 등 디스플레이 생산 과정에서 직접 배출하는 탄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특히 지난 9월, 'RE100(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만 쓰기로 공약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가입했으며, 국내외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을 추진하기로 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미 2020년 중국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미 완료했으며, 올해 말까지 베트남과 인도 사업장을 포함한 모든 해외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전력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외에 2030년까지 기업의 업무 차량을 전기차 또는 수소차로 전환하는 '2030 무공해차 전환'에 동참해 매년 친환경차 비율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재료업체들과 협력을 통해 OLED 유기재료의 효율을 높여 디스플레이의 소비전력을 낮추는 한편, 2021년 '에코스퀘어 OLED', 2022년 '에코스퀘어 OLED 플러스' 등 매년 향상된 저전력,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소비자들의 제품 사용 단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에코스퀘어 OLED는 편광판을 제거하고 새로운 패널 적층 구조를 적용해 소비전력을 향상시킨 기술이다. 갤럭시Z 폴드3에 최초로 적용된 이 기술은 빛 투과율을 33% 높여 같은 밝기에서도 패널 소비전력을 25%~52%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전 지구적인 '모래 고갈 위기' 극복을 위해 다른 분야의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협력, 디스플레이 공정의 주요 재료인 기판용 유리와 캐리어 글라스(플렉시블 OLED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패널 부착용 유리)를 건축 자재와 유리섬유 원료(선박 구조물 및 자동차 내장재에 활용)로 재활용하는 '순환경제 생태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특정 제품별로 사용 후 폐기됐던 패널 운반용 플라스틱 용기를 모델 구분 없이 재이용할 수 있는 공용 용기를 개발해 확대∙적용하는 한편, 향후 친환경 소재의 용기로 대체할 나갈 예정이다.
디스플레이 산업 특성상 공정에서 많은 물을 사용하는 삼성디스플레이는 대체 불가 자원인 '물' 보호에 대한 투자도 확대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3R(Reduce, Reuse, Recycle) 활동으로 제조 공정과 유틸리티 인프라 개선을 통해 매년 용수 사용량을 절감하고 첨단 수처리 시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물 재이용률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사장)는 "기업 경영의 첫번째 원칙이 이제 '지구'로 바뀌어야 할 만큼 우리는 심각한 기후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삼성디스플레이는 지속적인 탄소 감축 노력, 디스플레이 산업 내 순환경제 생태계 확립, 저전력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인류 최대 난제인 기후 위기 극복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탄소중립TF'를 구성, 과제별로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이행 중이며, '지속가능협의회'를 통해 다양한 환경경영 추진 과제들의 이행 경과를 점검해나갈 예정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