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은 28일 열린 국내 금융업 애널리스트 간담회에서 "은행·금융지주의 배당 등 주주환원 정책 및 가격 결정 등에 금융권의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존중하고 금융당국의 개입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시장 불안 상황에서 금융권의 자금 중개기능과 건전성이 중요해지자 은행의 주요 주주인 외국인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감독행정의 투명성을 제고해 외부 투자자를 포함한 시장 참여자들이 예측 가능한 규제와 감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간담회에 참석한 애널리스트들은 규제의 불명확성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작용하지 않도록 일관성 있는 규제가 필요함과 동시에 시장참여자 간 건전한 경쟁을 통한 시장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은행권 주주친화정책에 대해서도 애널리스트들은 과거에 비해 많이 개선되었다고 평가하며 배당 등 자본규제가 해외투자자 입장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언급했다.
이들은 "한국 금융회사의 거버넌스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그리 높지 않은 상태로 해외 선진 자본시장과 같이 금융권의 자율적인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 날 간담회에서 이 원장과 애널리스트들은 ▲한국 금융산업 규제의 투명성·일관성 ▲금융산업의 성장성 ▲금융사의 공적 기능 ▲대손충당금 및 자본적정성 등 건전성 규제와 ▲금융사의 주주환원 정책 ▲금융산업 혁신 등 다양한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고 금감원 측은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