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카카오, '먹통 사태' 재발방지대책 공개...서비스 안정이 최우선 과제
상태바
카카오, '먹통 사태' 재발방지대책 공개...서비스 안정이 최우선 과제
  • 최형주 기자 hjchoi@csnews.co.kr
  • 승인 2022.12.07 1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카오(대표 홍은택)가 7일 개최한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 카카오 데브 2022’ 에서 지난 10월 15일 발생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일어난 서비스 장애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방지대책을 공개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 발표를 진행한 남궁훈, 고우찬 비상대책위원회 재발방지대책 공동 소위원장, 이확영 원인조사 소위원장(그렙 CEO), 이채영 비상대책위원회 재발방지대책 소위원회 부위원장은 서비스 장애 원인에 대한 분석과 개선 사항을 공유하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혔다.
 
우선 남궁훈 재발방지대책 공동 소위원장은 키노트 ‘Our Social Mission’을 진행하며 카카오의 사회적 소명과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각오를 내비쳤다. 카카오의 ESG 최우선 과제도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인프라 개선을 위해 과거 원인 분석, 현재 재발방지책, 미래 투자 크게 3가지 관점에서 실천과제를 세우고 고우찬 재발방지 공동 소위원장을 필두로 인프라 조직을 대폭 강화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윗줄부터 순서대로) 남궁훈 소위원장, 이확영 소위원장, 이채영 부위원장, 고우찬 소위원장.
(윗줄부터 순서대로) 남궁훈 소위원장, 이확영 소위원장, 이채영 부위원장, 고우찬 소위원장.

이확영 원인조사 소위원장(그렙 CEO)은 ‘1015 장애원인 분석’ 키노트에서 카카오 서비스 장애 원인을 제 3자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했다. 데이터센터와 운영 관리 도구들의 이중화 미흡, 가용 자원 부족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고 서비스 복구에 시간이 소요된 이유를 자세히 설명했다.
 
이채영 재발방지대책소위원회 부위원장은 ‘달라지는 카카오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개선’ 키노트에서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개선 사항을 발표했다. 

데이터센터 이중화, 데이터와 서비스 이중화, 플랫폼과 운영 도구 이중화 등 인프라 하드웨어 설비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시스템 전체의 철저한 이중화를 적용하겠다는 내용이다. 모니터링 시스템 다중화, 데이터 다중 복제 구조 구성, 운영관리도구 삼중화 등 구체적인 개선 사항들을 전했다.
 
고우찬 재발방지대책 공동 소위원장은 ‘달라지는 카카오 미래 투자와 혁신 계획’을 통해 자체 데이터센터 방재 대책 및 향후 5년간의 IT 엔지니어링 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총 4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공 중인 안산 데이터센터의 운영 안정성, IT 엔지니어링 전담 조직 및 인재 확보, 각종 자연 재해와 인위적 사건 사고로 사업을 중단하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대응계획 (Business Continuity Plan) 및 데이터센터 DR (Disaster Recovery) 체계 구축 등의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