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LG전자, 창원 LG스마트파크에 '피그저감용 ESS' 구축...15년간 전기료 774억 절감
상태바
LG전자, 창원 LG스마트파크에 '피그저감용 ESS' 구축...15년간 전기료 774억 절감
  • 송혜림 기자 shl@csnews.co.kr
  • 승인 2022.12.27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G전자가 한국동서발전과 함께 창원 LG스마트파크에 전기료 부담을 낮추는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는 '피크저감용 ESS'를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LG전자는 경남 창원의 LG스마트파크에서 ‘창원 LG스마트파크 피크 저감용 ESS 준공식’을 가졌다. 행사에는 LG전자 H&A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 한국동서발전 김영문 사장 등이 참석했다.
 

▲창원 'LG스마트파크' 피크저감용 ESS
▲창원 'LG스마트파크' 피크저감용 ESS

피크저감용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전기 사용량이 적고 전기요금이 저렴한 심야 시간대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한 뒤 주간 피크시간대에 방전해 공장 전기요금을 낮춰준다.

이번에 구축된 ESS는 한국동서발전이 운영하며, 향후 15년간 약 774억 원의 전기료 절감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피크 저감용 ESS 확대에 동참하는 이번 사업은 국가 전력망의 피크전력(최대전력)을 낮춤으로써 예비발전설비 가동을 줄이고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하는 ESG 경영의 일환이다.

LG전자가 이번에 세운 피크저감용 ESS는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해 배터리 용량 163메가와트시(MWh),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 용량 44메가와트(MW)의 대규모 설비다.

이는 LG스마트파크 전체 일평균 전력소비량 가운데 약 15%를 대체할 수 있는 배터리 용량이다. 우리나라 4인 가구의 하루 평균 전력소비량을 11.7킬로와트시(kWh)로 감안할 때(월평균 전력소비량 350kWh 기준) 1만4천 여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LG전자는 PCS, 전력관리시스템(PMS; Power Management System), 배터리 등 ESS의 핵심 기술력을 토대로 제품뿐만 아니라 설계, 시공에 이르는 ESS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구축한 ESS는 LG전자 PCS와 PMS, LG에너지 솔루션 배터리를 탑재했다. LG전자가 배터리를 포함한 ESS 구성 요소 전부를 3년간 무상 보증한다.

LG전자 H&A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업계를 선도하는 차별화된 제품 제조 기술력에 다양한 친환경 솔루션을 더한 LG스마트파크를 앞세워 글로벌 가전 사업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송혜림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