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크라운해태, 새해 맞이 신년음악회 '제2회 한음회' 개최...올해는 '판소리'
상태바
크라운해태, 새해 맞이 신년음악회 '제2회 한음회' 개최...올해는 '판소리'
  • 김경애 기자 seok@csnews.co.kr
  • 승인 2023.01.12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크라운해태제과(회장 윤영달)는 지난 11일 세종문화회관에서 2023년 새해를 여는 신년음악회 '제2회 한음회'를 판소리를 주제로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한음회는 한국 전통음악의 새로운 이름인 '한음(韓音)' 알리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태극기와 애국가, 한글처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한국음악 국악의 특별한 이름으로 크라운해태 측이 제안한 것이다.

올해 공연은 총 4막으로 구성됐다. 조선후기(영조 30년, 1754년) 경남 진주 촉석루를 배경으로 판소리 기원에 대한 여러 설(說) 중 현존하는 문헌에 전하는 최고(最古) 기록을 판소리가 불려지던 현장과 형식을 고증해 재현했다.
 

▲크라운해태제과가 11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개최한 '제2회 한음회'에서 '송서 율창 전승자'들이 '송서' 중 '촉석루' 공연을 펼치고 있다
▲크라운해태제과가 11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개최한 '제2회 한음회'에서 '송서 율창 전승자'들이 '송서' 중 '촉석루' 공연을 펼치고 있다

양반들의 잔치에서 불려진 춘향가를 시작으로 적벽가, 수궁가, 흥보가, 심청가까지 판소리 5마당의 하이라이트가 차례로 공연됐다.

춘향가는 경기잡가로 적벽가는 분창으로 흥보가는 창극으로 공연했다. 수궁가는 최초 여성명창을 재현했으며 심청가는 박동진 명창의 완창을 선보였다.

크라운해태제과는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우리 민족의 한과 정서를 가득 담은 판소리의 정수를 즐길 수 있는 무대였다. 앞으로 전통음악의 세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무대를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