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음회는 한국 전통음악의 새로운 이름인 '한음(韓音)' 알리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태극기와 애국가, 한글처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한국음악 국악의 특별한 이름으로 크라운해태 측이 제안한 것이다.
올해 공연은 총 4막으로 구성됐다. 조선후기(영조 30년, 1754년) 경남 진주 촉석루를 배경으로 판소리 기원에 대한 여러 설(說) 중 현존하는 문헌에 전하는 최고(最古) 기록을 판소리가 불려지던 현장과 형식을 고증해 재현했다.

양반들의 잔치에서 불려진 춘향가를 시작으로 적벽가, 수궁가, 흥보가, 심청가까지 판소리 5마당의 하이라이트가 차례로 공연됐다.
춘향가는 경기잡가로 적벽가는 분창으로 흥보가는 창극으로 공연했다. 수궁가는 최초 여성명창을 재현했으며 심청가는 박동진 명창의 완창을 선보였다.
크라운해태제과는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우리 민족의 한과 정서를 가득 담은 판소리의 정수를 즐길 수 있는 무대였다. 앞으로 전통음악의 세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무대를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