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제네시스 G80을 비롯한 현대차 5개 차종 27만3643대는 앞좌석 안전띠 조절장치의 내부 가스발생기 불량으로 충돌 시 부품이 이탈될 가능성이 있어 30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또한 제네시스 GV80 2438대는 동력전달장치 제작오류로 균열이 발생해 파손될 우려가 있어 23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기아 봉고3 3만6171대는 보조 히터 설계 오류로 인한 과전류 때문에 퓨즈가 끊어져 차량이 멈출 가능성이 있어 27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
벤츠 S580 4MATIC을 비롯한 벤츠 10개 차종 9178대는 자동차안전성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초기 차량 진단 시 펌프 모터 전원공급장치를 고장으로 인식해 자동차안정성제어장치가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23일부터 리콜 조치에 들어간다.
한국지엠에서 판매하는 쉐보레 이쿼녹스 2294대는 어린이 보호용 좌석 부착장치 두께가 기준보다 두꺼워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돼 30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이외에 포드 머스탱 2210대는 후방카메라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문제로 인해 27일부터 리콜에 들어가며 벤틀리 플라잉스퍼 V8 274대는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스크린 고정 불량으로 23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페라리 296 GTB 등 2개 차종 65개는 연료탱크 연결파이프와 배터리 보호 덮개 간 마찰로 연결파이프가 손상돼 연료가 샐 가능성이 확인돼 7월 1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
이상의 결함시정과 관련해 각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된다. 결함시정 전에 차량 소유자가 결함 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현재 자신이 보유한 차량의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 및 차대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