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회장의 현장 점검은 윤석열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과 함께 경제사절단으로 참가한 것을 계기로 이뤄졌다.
효성이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한 것은 2007년 호치민 인근 동나이 지역에 법인을 설립하면서 부터다.
현재까지 약 35억 달러(한화 약 4조5700억 원)를 투자해 △남부 호치민 인근 동나이성(베트남, 동나이, 동나이나일론, 비나기전, 비나건설) △남부 바리우붕따우성(비나케미칼) △중부 꽝남성(광남) △북부 박닌성(FSV) 등 총 8개의 현지 법인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
지난해 베트남에서 32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했다. 효성은 올해도 4조 원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효성의 베트남 투자 규모는 한국 기업으로 세 번째 순서다. 현지인도 약 8500명 고용하며 일자리 창출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효성의 베트남 투자는 조 회장이 2000년대 중반부터 베트남이 포스트차이나의 글로벌 제조 생산 기지로 성장할 것이란 판단이 바탕이 돼 이뤄졌다.

현재 베트남은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정보통신 등 효성의 핵심사업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초 기지 역할을 맡고 있다.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스판덱스(점유율 32%)와 타이어코드(50%) 사업의 단일 규모 최대 규모의 생산 공장이 베트남에 있다.
중공업 부문에서도 전동기 공장을 비롯한 한국 창원의 마더플랜트의 표준품 제품을 단계적으로 이전하는 등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화학 부문에서는 비나케미칼 법인의 PP(폴리프로필렌) 사업에 있어 부두-LPG저장탱크-DH(탈수소화공정)-PP 생산에 이르는 수직계열화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향후 베트남의 LPG 유통 산업에 있어서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정보통신 부문에서도 박닌성에 베트남 최초의 ATM 공장을 신설하여 수출 전진 기지로 육성하고 있다.
효성은 앞으로도 베트남에서 섬유 밸류 체인 확대 및 첨단소재 투자를 검토 중이다.
현지에서의 사회공헌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효성은 사업장 인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인근 주민들을 위한 무료 진료(해외 의료봉사단 ‘미소원정대’ 파견) △생계 자립과 저소득 가정 지원 △교육 기자재 기부와 유치원 건축 등의 교육 인프라 구축 △코로나19 피해를 본 지역사회 지원 △베트남 대학과의 산학협력(인턴십, 장학금 지원 활동) △본사 임직원들과 베트남 저소득지역 아동과 결연 후원 및 매칭그랜트 활동 등을 실시하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