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신동원 농심 회장 “2030년까지 미국 시장 1위 달성” 천명
상태바
신동원 농심 회장 “2030년까지 미국 시장 1위 달성” 천명
  • 송민규 기자 song_mg@csnews.co.kr
  • 승인 2023.07.13 1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동원 농심 회장이 오는 2030년까지 미국 시장에서 연 매출 15억 달러를 달성해 라면시장 1위에 오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오는 2025년 미국 제3공장을 착공하고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신동원 회장은 지난 1일 취임 2주년을 맞아 임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적극적인 글로벌 공략과 함께 신성장동력 발굴에 대한 메시지를 전했다. 

신 회장은 오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매출 15억 달러와 함께 미국 라면시장 1위 역전을 이뤄내겠다는 목표를 천명했다. 농심은 지난해 북미 지역에서 4억9000만 달러의 매출을 거뒀다. 2030년까지 지금의 세 배 수준으로 성장하겠다는 셈이다.

신동원 회장의 해외 진출 포부는 지난 1987년 농심이 해외시장에 본격적으로 첫 발을 내디딘 일본 동경사무소에서부터 시작된다. 신 회장의 진두지휘로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농심은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전략으로 현재 세계 100여 개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는 1984년 샌프란시스코 사무소를 설립하고 2005년 LA공장을 가동하며 서부 및 교포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망을 넓혔다.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일본의 저가 라면과 달리 프리미엄 제품으로 차별점을 둔 농심은 2017년 국내 식품 최초로 미국 월마트 전 점포에 입점했다.

2020년 2월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 ‘기생충’에 농심 짜파게티와 너구리를 섞어 만든 ‘짜파구리’가 등장하며 농심 라면은 더 큰 주목을 받게 됐다. 같은 해 미국 3대 일간지 중 하나인 뉴욕타임즈가 신라면블랙을 세계 최고 라면으로 선정하는 등 미국 내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시장에서의 인지도와 브랜드 가치도 높아졌다. 

농심은 2022년 미국 제2공장을 완공해 공급량을 대폭 확대함으로써 올해 1분기 전년 대비 매출액 40.1%, 영업이익 604.1%의 성과를 거뒀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농심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2021년 기준 25.2%로 일본 토요스이산(47.7%)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농심 관계자는 “지금의 성장세 그리고 1위 일본 업체와 점유율 차이를 감안할 때 미국 시장의 비전은 충분히 달성 가능하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농심 신동원 회장이 사내 아이디어공모전 '챌린지페어'에서 연구원들이 만든 시제품을 시식하고 있다.
▲농심 신동원 회장이 사내 아이디어공모전 '챌린지페어'에서 연구원들이 만든 시제품을 시식하고 있다

신동원 회장은 적극적인 해외 시장 개척과 동시에 국내에서도 더욱 내실을 다질 것을 주문해 왔다.

수익성 개선 프로젝트를 통해 회사 운영 전반에서 불필요한 낭비 요소를 줄이고, 경영 효율성을 높여 이익률을 한층 끌어올렸다. 이와 함께 AI, IoT를 업무방식에 적용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특히 생산현장에 AI를 도입해 불량률을 혁신적으로 낮추는 등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식품 안전의 수준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다.

또한 MZ세대와 친밀하게 소통하는 ‘젊은 농심’이 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우선 조직문화부터 바꿨다. 지난해부터 자율복장제도를 도입하고 직급체계를 기존 5단계에서 3단계로 간소화함으로써 보다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소통의 조직 문화를 만들었다. 

농심의 마케팅 활동도 한층 젊어졌다는 평을 받고 있다. 농심은 지난해 안성탕면 팝업스토어에 이어 올해 신라면 팝업스토어를 선보였다.

농심은 소비자 접점의 마케팅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며 비빔면 시장 1위 역전을 노리는 ‘배홍동비빔면’과 음료시장에서 제로 칼로리 열풍에 발맞춰 내놓은 ‘웰치 제로’ 등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해 선보인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서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고 밝혔다.

신동원호 농심은 기존 라면과 스낵 중심의 사업구조를 탄탄하게 다지는 것은 물론, 농심의 미래를 열어갈 신사업 추진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농작물의 안전성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농심은 세계가 그 해결책으로 주목하고 있는 ‘스마트팜’ 사업에 뛰어들었다. 1995년 강원도 평창 감자 연구소를 시작으로 스마트팜 기술을 연구해 온 농심은 지난해 오만에 스마트팜 컨테이너를 수출하고, 올해 UAE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스마트팜 MOU를 체결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특히 중동지역에서 스마트팜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다. 농심은 스마트팜의 모든 시설부터 제어 시스템까지 직접 자체 개발한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농심은 최근 ‘비건푸드’가 떠오르고 있다는 점도 주목했다. 지난 2020년 농심이 자체 개발한 대체육 제조 기술 HMMA를 기반으로 다양한 식품을 선보이는 비건 브랜드 ‘베지가든’을 론칭했으며,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 비건 파인 다이닝을 제공하는 ‘Forest Kitchen(포리스트 키친)’을 오픈했다.

농심은 지난 2020년 론칭한 ‘라이필’ 브랜드를 필두로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에도 나섰다. 농심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저분자콜라겐펩타이드NS’를 주원료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콜라겐 시장에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최근에는 프로바이오틱스, 오메가3, 락토페린 등 건강기능식품을 출시했다. 향후 농심은 수면력과 기억력 개선은 물론 대사 체계에 도움을 주는 제품 등 다양한 신제품을 선보이며 관련 시장을 넓혀간다는 목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송민규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