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올해 줄줄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외산대작게임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주요 게임퍼블리셔(서비스업체)들이 국내게임보다 인지도가 높은 외산게임에만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 이는 가뜩이나 정체된 국내게임산업에 찬물을 끼얹는다는 지적이다.
곧 선보일 외산게임들 중에는 비디오게임이나 패키지게임으로 수백만장이 팔린 대작들도 10여편이 넘는다. 수년째 이렇다할 히트작을 내지 못한 게임업계에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외산게임들로 시장이 크게 잠식당할수 밖에 없기 때문.
게임포털 ‘넷마블’을 운영 중인 CJ인터넷의 주요 게임은 일본과 중국산이다. 현재 반다이남코게임즈의 ‘SD건담캡슐파이터’, 코에이의 ‘대항해시대’, 완미시공의 ‘완미세계’ 등을 서비스 중이다. 얼마전 외산게임인 ‘루미네스온라인’도 들여왔다. 지난해 코에이의 ‘진삼국무쌍 온라인’, 반다이의 ‘드래곤볼 온라인’과 ‘케로킹 온라인’, 세가의 ‘슈퍼 몽키볼 온라인레이싱’ 등의 국내 서비스권을 싹쓸이했다.
NHN도 미국 터바인사가 만든 다중역할수행게임(MMORPG) ‘반지의 제왕 온라인’을 상반기 중 내놓는다. NHN은 EA 계열사가 개발 중인 MMORPG ‘워해머온라인’의 국내 판권을 따기 위해 매달려있다. 특히 ‘반지의 제왕 온라인’의 경우 미국 개발사 측이 거액의 계약금을 요구, NHN과 SK텔레콤 등이 유례없는 ‘머니게임’을 펼치기도 했다. ‘워해머 온라인’도 계약금 규모가 웬만한 대작게임 계약금의 3~4배인 100억원대에 달한다는 설도 나오는 실정.
중국개발사 스네일게임의 ‘파이브스트리트’, 정도소프트의 ‘거인’ 중국산게임의 판권을 따기 위해 여러 업체들이 접촉 중이다. 이밖에 넥슨과 네오위즈 등은 미국개발사의 ‘카운터스트라이크’과 ‘배틀필드’ 등을 온라인버전으로 개발해 내놓는다.
주요 퍼블리셔들이 외산게임에 목매다는 이유는 검증받은 흥행성과 인지도 때문. 중국게임들은 판권도 싼 편. 즉 인지도가 있는 외산게임을 들여와 서비스하는 것이 흥행리스크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측면에서 이득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외산게임 수입 횟수가 늘어날수록 국내 개발사들의 판로는 줄어들고 또 국내 개발력의 기반이 흔들리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것. 즉 단기적인 안목에서 외산게임을 들여올 생각보다는 경쟁력있는 국내게임을 개발해 서비스해야한다는 지적이다.
한 개발사 관계자는 “외산게임에만 매달리면 국내개발사들이 게임을 팔 기회가 줄어들게 되고, 독창적인 게임이 나올 터전이 좁아져 고질병인 기획력 문제가 개선될 기회를 놓치게 되는 등 악순환만 거듭돼 결국 국내 개발력의 ‘토양’은 자연스레 약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선영 기자(kong@herald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