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구매한 에어컨 취소시키고 다른 사이트에서 현금결제 유도한 뒤 폐쇄...오픈마켓 피싱 사기 기승
상태바
구매한 에어컨 취소시키고 다른 사이트에서 현금결제 유도한 뒤 폐쇄...오픈마켓 피싱 사기 기승
"직거래 및 현금 결제 유도시 사기 의심"
  • 이설희 12seol12@naver.com
  • 승인 2024.07.07 08: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례1= 강원도에 사는 윤 모(남)씨는 지난 6월 21일 A오픈마켓에 입점한 한 업체에서 에어컨을 구매했지만 품절됐다는 이유로 주문이 취소됐다. 그런 윤 씨에게 온 것은 '이마트몰에서 구매하면 똑같은 가격에 주문할 수 있다'는 문자였다. 그는 판매자가 보낸 인터넷 주소 'emartssg.com'으로 들어가 57만 원을 결제했다. 윤 씨는 "계좌 이체한 후 사이트가 폐쇄됐다"며 "사이트 주소도 실제 이마트몰과는 달랐는데 그때는 알지 못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사례2= 경기도에 사는 성 모(여)씨는 지난 6월 26일 B오픈마켓에 입점한 판매자에게서 에어컨을 결제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재고 소진으로 인한 주문 취소가 돌아왔다. 이 판매자는 문자로 자신이 개인적으로 운영중인 온라인몰에서 다시 주문할 것을 권했다. 상품을 더 빨리 받아볼 수 있다는 파격적인 문구도 담겼다. 의아함을 느낀 성 씨는 해당 사이트에서 결제하지 않았다. 성 씨는 “실제로 사기를 당한 사람도 있는 것 같더라”고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오픈마켓에서 구매한 제품을 여러 이유로 취소시키고 사기 사이트로 결제를 유도한 뒤 폐쇄해 버리는 사기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장마철 무더위에 에어컨 구매 수요가 급증하는 것을 노려 이들 제품을 이용한 사기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
▲사기 판매자는 이마트인양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인터넷 URL도 유사하게 만들어 소비자를 오인케했다
7일 소비자고발센터(www.goso.co.kr)에 따르면 사기 수법은 비슷하다. 오픈마켓에 저렴한 가격으로 유명 브랜드 제품을 등록해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한다. 이후 재고 소진, 배송 지연 등을 이유로 결제를 취소시키고 소비자에게 “이곳에서 구매하면 빠른 배송이 가능하다“ “현금으로 구매하면 더 저렴하다”며 다른 링크 사이트를 보낸다. 결제는 계좌이체, 무통장입금만 가능한데 입금이 확인되면 가짜 사이트를 폐쇄하는 식이다.

가짜 사이트도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다. 판매자 개인 사이트는 물론이고 멀쩡하게 운영 중인 대형 오픈마켓의 주문창을 그대로 베낀 곳도 수두룩하다. 대부분 실제 사이트 주소 뒤에 약간의 단어를 추가하는 등 교묘하게 눈속임 중이다. 심지어는 가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소비자들을 속이고 있다.

이들 판매자는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오픈마켓에 입점해놓고 타깃을 노린다. 그렇다보니 쿠팡, 네이버쇼핑, SSG닷컴, 지마켓, 11번가, 롯데온, 카카오쇼핑, 위메프, 티몬, 인터파크 등 가리지 않는다.

오픈마켓을 통한 사기에 대해 플랫폼 측의 책임은 미비하다. 통신판매중개업체에 환급 책임을 인정할 만한 법적 근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픈마켓에 개인 판매자 등록이 너무 쉽다는 것도 문제다. 오픈마켓은 누구나 법인만 등록하면 판매가 가능해 사기꾼이어도 가입할 수 있다.

특히 현금으로 구매한 경우에는 환불 요청도 쉽지 않다. 소비자 피해 분쟁 시 이를 입증하기 위해 주문내역이나 결제내역 등 거래 관련 증빙 서류가 필요한데, 현금으로 결제하면 관련 기록이 거의 남지 않는다.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카드사가 대금 지급을 중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금보다는 환불 가능성이 높다. 또한 20만 원 이상 금액을 3개월 이상 할부 결제했을 때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할부거래법) 제16조 제①항에 따르면 ▲할부계약이 불성립·무효인 경우 ▲할부계약이 취소·해제 또는 해지된 경우 ▲재화 등의 전부 또는 일부가 재화 등의 공급 시기까지 소비자에게 공급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취소가 가능해 일부 금액을 보전할 수 있다.

오픈마켓을 통한 이같은 사기가 횡행하다보니 플랫폼들도 판매자 필터링 및 판매페이지에 '주의' 문구를 넣는 등 방편을 마련하고 있다.

한 오픈마켓 관계자는 “구매자 대상으로 상품 페이지 등을 통해 직거래 유도 판매자에 대해 주의할 것을 공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기 의심 판매자는 가입 심사 시점에서 필터링한다. 이미 가입한 경우라면 의심 행동을 보이는 즉시 실시간 추출해 모니터링 및 차단 대응하는 체계”라고 설명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설희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