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연합뉴스와 기획예산처. 문화재청에 따르면 정부는 문화재 재난 방지를 위한 계획과 해당 예산을 다시 검토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획처 관계자는 "문화재보수사업 예산은 작년 1천689억원에서 올해 1천900억원으로 늘어났다"고 밝히고 "문화재청이 문화재 안전을 위한 계획을 추가로 수립해 예산을 요청할 경우에는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이미 배정된 예산 가운데 급한대로 투입할 수 있는 것은 긴급보수비 30억원, 문화재보수전국사업비 44억원, 고건축물보수정비사업 65억원 등 139억원에 이른다"면서 "부족할 경우에는 예비비를 통해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현재 필요한 예산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있다"고 전하고 "대상은 국가지정 국보.보물, 중요 민속자료, 근현대 건축문화재 등 적지 않은 상황이어서 현재로서는 그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경우, 주요 문화재가 산속에 있다면 바로 근처에 물탱크를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적지않게 들어간다"면서 "문화재 안전을 위한 조치가 생각 만큼 간단하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주요 문화재에 경비원을 세우는 것도 검토해봐야 한다"면서 "그러나 인력을 늘리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기획처 관계자는 "주요 문화재에 24시간 경비원을 배치하는 것은 검토대상이 될 수밖에 없으나 실제로 정책으로 실행할 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 "공익요원으로 할지, 아니면 민간경비원을 투입할 지 등을 판단해야 하고 그 인력 규모와 투입비용 등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