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건설현장 찾은 김동연 지사,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노동자 없도록" 4차례 강조
상태바
건설현장 찾은 김동연 지사,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노동자 없도록" 4차례 강조
  • 양성모 기자 ymaria@csnews.co.kr
  • 승인 2025.08.14 18: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가 먼저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을 지키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4일 건설공사 현장을 방문해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노동자가 한 명도 없게 하겠다는 심정으로 공사 현장을 찾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경기도 의왕시 학의동의 근린생활시설 건설공사 현장을 전격 방문해 둘러 본 뒤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노동자가 더는 없도록 도가 앞장서겠다는 취지의 말을 네 차례나 거듭했다.

▲14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맨 오른쪽)가 의왕시 학의동 건설현장을 방문해 근로자 안전을 당부하고 있다.
▲14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맨 오른쪽)가 의왕시 학의동 건설현장을 방문해 근로자 안전을 당부하고 있다.
김 지사는 “이재명 대통령께서도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을 강조하셨기 때문에 국정의 제1파트너로서 도가 가장 앞장서겠다는 마음으로 달려왔다”고 밝혔다.

‘산재공화국’의 오명을 벗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김 지사는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작업중지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혹시 위험 요인이 발견되면 바로 작업을 중지할 수 있도록 ‘작업중지권’이 도 사업장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사업주들과 협의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현행법상 ‘작업중지권’은 사업주, 노동자 등에 주어져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제대로 작동하려면 ‘근로감독관’에게 ‘작업중지권’을 주는 방안이 있다.

강민석 도 대변인에 따르면 이 경우에도 현장 상황을 잘 아는 경기도는 사실상 배제된다. 근로감독관이 행사하는 근로감독권은 중앙정부의 권한이기 때문이다 도가 근로감독관이 행사하는 근로감독권의 위임 문제를 중앙정부(고용노동부)와 협의 중인 이유이기도 하다.

▲14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의왕시 학의동 건설현장을 방문해 건설업 산업재해 취약요인 점검을 하고 있다.
▲14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운데)가 의왕시 학의동 건설현장을 방문해 건설업 산업재해 취약요인 점검을 하고 있다.
도는 50억(공사장 사업규모) 미만 건설·제조업, 지역별 위험업종(물류시설 등)에 대해선 산업현장의 위험요인을 발굴해 개선하도록 지도하는 ‘노동안전지킴이’ 제도를 도입해 운영 중에 있다. 김 지사의 현장 점검으로 잠재 위험 요인을 사전에 개선하는 성과는 있었지만 사후 조치에 대한 강제성이 없어 산재 사고를 막는 데는 한계가 있다.

강 대변인은 “실효성 있는 현장 안전 관리를 위해선 중앙정부에 있는 ‘근로감독권’을 지방정부로 이양하거나 위임할 필요가 있다”며 “그래야 ‘작업중지권’ 행사도 점차 실질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고용노동부의 한정된 조직·인력으로는 산업재해 현장을 관리하는 것은 역부족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