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침체가 계속되면서 주택건설업체들의 주택 건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이는 경기 침체로 분양성공을 자신할 수 없는 데 따른 것으로 정부가 그린벨트 등에서 싼 공공주택을 많이 짓겠다는 계획이어서 민간은 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2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8월에 주택건설인허가를 받은 물량은 공공부문 7천896가구, 민간부문 1만4천190가구 등 총 2만2천86가구에 그쳤다.
이는 4월(3만4천109가구)이후 4개월째 미끄러진 것으로 특히 민간부문에서의 건설부진은 심각한 수준이다.
민간부문이 8월에 인허가받은 물량은 4월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또 설 연휴가 있었던 올 2월(1만2천240가구)과 작년 1월(1만1천718가구)을 제외하면 2006년 8월(1만3천508가구) 이후 2년만의 최저 기록이다.
올해 들어 8월까지의 주택건설물량은 공공부문(2만9천9가구)은 작년 동기보다 62.2% 늘었으나 민간부문(14만8천142가구)은 28.4% 감소해 전체(17만7천151가구)로도 21.2% 줄었다.
민간의 건설물량이 부족한 것은 분양가 상한제 등이 민간주택까지 확대돼 수익성이 떨어진 상황에서 분양시장까지 침체돼 분양을 자신할 수 없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주택건설업체의 경우 대부분 프로젝트파이낸싱 등 대출을 받아 택지를 사기 때문에 금융부담을 고려하면 빨리 짓는 게 이익이지만 주택을 지으려면 또다시 돈을 빌려야 한다. 이런 부담을 안고 주택을 건설하고 나서 분양에서 실패하면 막대한 금융부담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민간건설업체의 한 고위임원은 "주택건설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줄도산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데 쉽게 신규주택사업을 결정하기는 어렵다."라고 전했다.
국토부도 민간 주택건설 부진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당장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뾰족한 대책이 없어 고민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런 추세라면 올해 수도권 목표물량 30만가구중 22만-23만가구정도밖에 짓지 못할 것으로 관측된다"면서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단지형 다세대주택 등 정부가 마련한 주택건설활성화대책이 효과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1-8월의 주택건설 실적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9만3천688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6.9% 줄고 지방은 8만3천463가구로 무려 32.7%나 감소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42.7%나 감소한 9만9천318가구가 인허가를 받은 반면 다가구, 다세대 등 아파트외 주택은 51.7%나 늘어나 7만7천833가구가 됐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