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법무부가 한나라당 최병국 의원에게 낸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공무원 194명이 횡령, 직권남용 등 직무와 관련한 비리를 저질러 기소됐다.
중앙 행정기관별로는 경찰 공무원이 33명으로 다른 직종보다 크게 많은 가운데 교육부 6명, 법무부ㆍ검찰청 5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보훈처와 행정안전부 소속이 각각 4명, 건설교통부ㆍ국세청ㆍ조달청 소속이 각각 3명이었다.
작년 한 해는 모두 388명의 공무원이 직무와 관련한 비리로 재판에 넘겨졌는데 올해와 마찬가지로 경찰관이 83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법무부ㆍ검찰청 소속이 23명, 국세청 소속 17명이었다.
경찰청과 법무부ㆍ검찰청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비리 공무원을 많이 배출한 기관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했고 교육부는 2위로 순위가 뛰어올랐다.
광역자치단체별로는 전남 소속이 23명, 경기 소속이 21명으로 수위를 다투는 가운데 서울 18명, 충남 11명, 전북ㆍ경북ㆍ인천 각각 8명의 분포를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울산ㆍ충북ㆍ제주 3곳 소속 공무원은 단 1명도 비리로 적발되지 않았다.
죄목별로 분류해보면 뇌물을 받은 경우가 95명으로 가장 많았고 허위 공문서 작성(56명), 직권남용(23명)도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최 의원은 "새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법질서 확립의 최일선에 있는 경찰ㆍ법무 공무원들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장 비리를 많이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들 기관은 소속 공무원의 절대적 수가 많다는 안일한 변명에서 벗어나 특단의 자정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