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전국적으로 아파트 분양을 받겠다는 전화보다 해약해달라는 전화가 더 많아요. 가뜩이나 미분양도 쌓여 있는데 해약까지 해달라니 막막할 따름입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
최근 건설사들이 아파트 분양 계약자들의 해약 요구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분양 당시에는 투자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해 계약을 했지만, 최근 경제 위기와 집값 하락으로 불안감이 커지자 건설사에 위약금을 물고서라도 해약을 하겠다는 계약자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고 10%까지 치솟는 등 '이자폭탄'이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자 지방 뿐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계약을 포기하겠다는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경기도 용인지역은 올들어 아파트값이 지난해 초 고점 대비 최고 20-30% 하락하면서 해약요구가 줄을 잇는다.
지난해 동천동에서 3.3㎡당 1천700만-1천800만원선에 아파트를 분양한 S사는 계약 해지 요구를 심심치 않게 받고 있다.
주변 아파트 시세가 3.3㎡당 1천200만원대까지 하락하면서 계약자들이 시세차익을 보장받기 어려워진 때문이다. 분양가를 깎아달라는 계약자들의 집단 민원도 해약을 부추기는데 한 몫하고 있다.
용인 상현동에 아파트를 분양한 H사와 성복동 D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H건설 관계자는 "중도금 이자 후불제라도 대부분 변동금리여서 금리 인상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주변 집값은 계속 하락중인데 이자부담은 커지고 있으니 위약금을 물고서라도 해약해달라는 민원이 많다"고 말했다.
경제자유구역으로 분양 당시 청약 경쟁률이 치열했던 인천 송도, 청라지구의 아파트 단지에도 해약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G건설 관계자는 "해약이 가능하냐는 문의가 하루에도 10-20통씩 걸려오는데 뾰족한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며 "6억원 초과 아파트의 경우 총부채상환비율(DTI)에 걸려 중도금 대출에 제한이 있는 계약자들의 해약 요구도 많다"고 전했다.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계약금을 500만-1천만원의 정액제로 바꾼 단지는 해약 과정에서 위약금 문제로 건설사와 분양 계약자간의 갈등도 속출하고 있다.
경기도 고양시의 한 아파트는 초기 계약금을 1천만원으로 낮췄으나 건설사측이 해약을 할 경우 계약금의 10%인 약 3천여만원을 위약금으로 내라고 요구해 계약자와 다툼이 빚어지기도 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