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크'에 대한 예산 삭감을 결정했던 정부에 대해 네티즌들의 비난 여론이 일자 '위기감'을 느낀 한나라당이 기존 입장을 철회하고 재 지원의사를 밝히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대한민국 사이버 민간 외교관으로써 그 성과를 높이고 있는 반크(vank: voluntary agency network of korea)는 1999년 외국에 대해 국가홍보와 교류를 통한 사이버 민간 외교관의 역할을 위해 박기태 단장에 의해 만들어진 대한민국의 비정부 민간단체이다.
특히 독도의 다케시마 표기, 동해의 일본해 표기 문제 해결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정부 차원의 외교보다 낫다"는 평을 받기도했다.
국회 국정감사에서 '반크'에 대한 정부의 예산 지원 중단 결정이 밝혀지자 국민들은 입을 모아 이를 비난하고 나섰다.
국내 경제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부각되고 있진 않지만, 독도에 대한 일본의 침탈이 더욱 노골적으로 변해가는 상황에서 회원비와 일반인 성금으로 운영되는 반크에 대해 정부 예산지원을 중단한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는 것이 비난의 핵심이다.
특히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지휘아래 소위 '연예인관광단'을 베이징올림픽에 투입하는데 2억원이 넘는 국민의 혈세를 선뜻 지원한 것과 연관, 연예인응원단이 이 돈을 엉뚱한데 써버렸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난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국가의 중대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자발적 기구에 쥐꼬리만한 예산마저 삭감하는 정부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국민들의 주장이다.
정부의 올해 '반크' 지원금은 고작 3000만원. 2005년 5000만원, 2006년 8000만원, 2007년엔 5000만원씩 지원되던 것이 올해는 그나마 줄어들었다.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한나라당 주호영 원내부대변인은 22일 KBS '라디오 정보센터 이규원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반크 예산 삭감 조치는 국회 심의 과정에서 수정하겠다"며 예산 증액 의사까지 밝혔다.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반크에 대한 예산 삭감안은 시대착오다"라며 "예산을 아낄 때가 따로 있지..."라는 볼멘 목소리를 낸 것으로 알려진다.
한나라당이 강하게 반대 입장을 피력하고 나서자 정부도 입장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독도연구소에 예산을 책정해 반크 등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나섰고,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외교부 차원에서 반크 지원을 검토해 보겠다"고 외교부 차원의 '반크' 지원 의사를 밝혔다.
국민들은 정부의 '반크' 재 지원 의사에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종부세 감세, 부실 건설사 살리기에 국민의 혈세를 쏟아 부으면서 정작 필요한 부분에는 예산을 삭감하거나 중단하는 정부의 정책에 강한 반발을 내비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