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식품 이물질 보도에 이어 최근 멜라민 파동으로 식품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자연스레 '유기농 식품'으로 쏠리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반증이라도 하듯 최근 경기침체에도 불구 유기농 전문매장의 매출은 20~30% 늘어난 것으로집계되고 있다.
그러나 과연 유기농 제품을 어떻게 구분할까?
서울 상도동의 김모 주부는 얼마 전 마트에서 장을 보다 적잖게 당황했다. 가족의 건강을 생각해 처음으로 유기농 식품 코너를 찾았지만 제품에 붙은 마크를 들여다봐도 도무지 내용을 알 수 없었던 것.
결국 '유기농'이라는 단어만 찾아 제품을 구입하긴 했지만 찜찜한 기분을 지울 수 없었다.
김씨는 "어떤 기준으로 제품을 선택해야 하며 과연 유기농식품은 안전한지 알고 싶다"며 본지로 자문을 요청했다.
식품 불안증의 대안으로 꼽히는 '유기농 식품'은 크게 유기농 농산물과 유기농 가공식품으로 나눌 수 있다.
유기농 농산물의 경우 2007년 7월부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민간 인증기관에서 관리하는 '친환경농산물 의무 인증제도'를 통해 정부인증으로 표기관리를 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는 재배방식에 따라 유기 농산물(3년 이상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 않음), 무농약 농산물(유기합성농약은 일체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3분의 1이내 사용), 저농약 농산물(화학비료는 가급적 권장시비량의 2분의 1이내 사용)등으로 나뉜다.
외국의 경우와는 달리 유기농의 단계가 세분화되어 있어 제품 구매 시 세부내역 및 정부인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반면 유기 가공식품의 경우는 그동안 허술한 관리체계로 인해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외국에선 공식인증 제품에만 유기농제품 마크 표기가 가능하지만 국내에선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
원료의 95%이상을 유기농 재료를 이용했을 때 생산자가 자율적으로 표기를 할 수 있는 데 원료 확인이 쉽지 않은 맹점이 있다.
실제로 '유기농 두부' '유기농 올리브유' 등 국내에서 고가에 팔리는 유기가공식품 대부분이 정부인증 없이 표기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기도 했다.결국 소비자들은 일반 가공식품보다 세 배 가까이 비싼 유기농 제품을 진위 여부도 모른 채 구매하는 경우가 다반사인 것이 현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6월 28일부터 식품산업진흥법을 통해 제정된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가 시행되었다.
이번 법안에는 수입 유기식품 또한 국내 인증기간의 심사를 받아야만 인증마크를 붙일 수 있도록 변경된 점이 눈에 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유기가공식품의 표기를 온전히 신뢰하고 구매를 결정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식품관리원 관계자는 "이미 6월에 인증제도가 제정되었지만 아직까지 준비단계로 보는 게 맞을 것"이라며 "현재는 생산자자율표시 단계에서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로 점차 전환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와...정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