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GS 지주회사 맞아?..65%계열사 편입안돼
상태바
GS 지주회사 맞아?..65%계열사 편입안돼
  • 임학근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10.31 0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호출자에 제한을 받는 기업집단 소속 지주회사의 계열사 편입비중이 평균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S홀딩스의 경우 겨우35%선에 불과해 대기업그룹의 복잡한 출자구조 해소를 위해 도입된 지주사 제도의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계열사 가운데 무려 65%가 지주회사 울타리 밖에 있기 때문이다.


   31일 연합뉴스의 공정거래위원회 자료 인용 보도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60개로 2006년 8월 말 31개에 비해 2배 가까이 급증했다.이중 자산총액 5조원 이상 41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한 11개 지주회사는 전체 계열사의 54%를 지주회사로 편입하고 있었다. 상호출자 제한대상이 아닌 나머지 지주회사가 전체 계열사의 70.5%를 편입하고 있는 것에 크게 못 미쳤다.

   기업집단이 지주회사로 전환하면 자회사간 출자가 금지돼 복잡한 출자구조를 해소하는데 긍정적이다. 그러나 지주사 체제 밖에 있는 계열사가 많으면 그 효과가 반감된다. 지주회사에 편입되지 않은 계열사들은 다른 계열사에 출자할 수 있고 심지어 지주회사에 편입된 계열사에도 출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업집단별로 보면 한진중공업은 5개 계열사가 모두 지주회사에 편입돼 있고 LG(93.8%)와 CJ(87.7%), SK(72.3%), 금호아시아나(67.6%), LS(57.7%) 등도 편입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S는 지주회사인 GS홀딩스의 계열사 편입비중이 35.3%에 불과하며 아직 본격적으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지 못한 한화(15.0%)와 대한전선(13.8%), 삼성(3.4%)도 편입비중이 크게 떨어진다.

   공정위 관계자는 "일부 기업집단의 경우 지주회사 밖에 상당수의 계열사가 존재하고 행위제한 유예기간에 있어 지주회사 체제의 특징인 단순, 투명한 수직적 출자구조가 완전히 자리잡지 못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