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100대기업 중 43개 시장가치,청산가치이하로 추락
상태바
100대기업 중 43개 시장가치,청산가치이하로 추락
  • 임학근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11.02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가가 급락하면서 현대자동차 등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들 가운데 상당수의 시장가치가 청산가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저평가되고 있다. 

2일 재계 전문 사이트 재벌닷컴이 지난 30일 종가 기준으로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시가총액 대비 자본총액 비율을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 기업들의 절반에 가까운 43개사가 청산가치 이하인 10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대비 자본총액 비율이 100% 미만은 시장에서 평가받는 기업가치(시가총액)가 순자산 가치(자본총액)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실제 기업가치보다 시장가치가 저평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조사 결과 대림산업은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자본총액이 3조421억원이나 지난 30일 현재 시가총액은 1조1,101억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자본총액 비율은 36.5%에 불과했다. 

또 공기업인 한국전력도 자본총액은 43조1,98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날 현재 시가총액은 16조6,487억원에 그쳐 시가총액 대비 자본총액 비율이 38.5%였다. 

이들 외에도 기업은행을 비롯해 우리금융, 동국제강, 하나금융지주, 한진해운 등의 자본총액 대비 시가총액 비율이 50%를 밑돌아 시장가치가 순자산 가치의 절반에도 못했다.

이밖에 SK, GS, CJ  등 주요 대기업집단의 지주회사를 비롯해 현대차, 효성, 롯데쇼핑, 현대제철, 삼성SDI, 대한항공, 한화 등 주요 그룹의 핵심 기업들이 순자산 가치에 비해 시장가치가 매우 낮게 평가받고 있다.

반면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는 자본총액이 56조1,523억원인데 비해 시가총액은 79조997억원에 달해 시가총액 대비 자본총액의 비율이 149%였고, 시가총액 2위를 기록한 포스코는 116.8%로 시장가치가 순자산 가치보다 높았다. 

인터넷 포털 1위인 NHN(네이버)는 자본총액이 4,082억원인데 비해 이 날 현재 시가총액은 6조2,325억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자본총액 비율이 무려 1,526.9%로 순자산 가치에 비해 시장가치는 15배 이상 높게 평가받았다. 

이어 LG생활건강(641.7%), 메가스터디(540.4%), 글로비스(434.7%), 삼성중공업(412.3%) 등이 순자산 가치보다 4배 이상 높게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 중  은행, 증권 등 금융사와 건설사가 최근 금리상승 및 금융불안 등으로 주가가 크게 떨어지면서 순자산 가치에 비해 시장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