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업계 선두업체인 삼성화재가 공격적인 영업에 나서 경쟁업체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다수 손해보험사가 이번 달에 적용되는 공시이율을 지난달과 같은 수준으로 동결한 가운데 삼성화재만 유일하게 0.2%포인트 인상했다.삼성화재의 공시이율은 5.6%에서 5.8%로 오르면서 상위권 회사인 현대해상, 동부화재, LIG손해보험(5.6%)은 물론 메리츠화재(5.6%), 한화손해보험(5.7%)보다도 높아졌다.
저축성 보험 등에 적용되는 이자율인 공시이율이 인상되면 기존 가입자는 앞으로 지급받을 보험금이 늘어나고 신규 가입자는 보험료가 인하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삼성화재의 공시이율 인상은 시중의 금리 동향과는 정반대여서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모두 1%포인트의 파격적인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고 시중은행들도 이에 호응해 예금금리를 낮추고 있다.
특히 삼성화재는 그동안 상위권 보험사들과 공시이율의 수준을 똑같게 하거나 0.1∼0.2%포인트 더 낮게 유지해왔다. 상대적으로 규모나 인지도가 떨어지는 보험사들은 공시이율을 높게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삼성화재가 공시이율을 올리면서 중위권 회사인 롯데손해보험, 흥국쌍용화재(5.8%)와 같은 수준이 됐다. 삼성화재보다 공시이율이 높은 곳은 제일화재(6.0%)와 그린손해보험(6.1%) 등 2곳뿐이다.
삼성화재보다 인지도가 낮은 보험사들이 고객을 잡으려면 결국 무리를 해서라도 공시이율을 높여야하는 상황이 됐다.
최근 삼성화재는 "진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혀왔던 온라인 자동차보험 시장에도 출사표를 던졌다. 온라인 차보험은 보험설계사 대신 전화 상담원이 가입 상담을 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차보험보다 보험료가 10∼15%가량 싸다.
삼성화재의 온라인 차보험 진출로 경쟁업체들은 앞으로 온라인 시장에서 보험료 경쟁이 불붙는 것 아니냐며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연합뉴스는 "삼성화재가 최근 공격적인 영업에 나서 다른 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최근 금융위기 사태가 또 다른 기회라고 보고 적극적으로 시장 공략에 나서는 것 아닌가 싶다"고 보험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삼성화재는 이에 대해 "최근 6개월간 자산운용 수익률이 좋아 공시이율을 올렸을 뿐 다른 이유는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