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10월 경상수지가 사상 최대의 흑자를 기록했다.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폭락에 따라 수입이 격감해 상품수지가 흑자로 돌아섰다.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해외여행이 줄어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가 큰 폭으로 줄었다.
국내 은행들은 '달러 킬러' 역할을 톡톡히 했다. 하나은행.신한은행.국민은행.우리은행.외환은행등 은행들이 해외 차입금을 대거 상환하면서 자본수지는 무려225억달러의 순유출을 기록했다. 사상 최대 기록이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0월중 국제수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49억1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80년 이후 사상 최대 규모다.
경상수지는 지난 6월 18억2천만 달러 흑자에서 7월 25억3천만 달러 적자로 전환한 뒤 8월 -47억 달러 , 9월 -13억 5천만 달러로 3개월 연속 적자행진을 해 왔다.
올해 1~10월 경상수지 누적 적자는 90억1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상품수지는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수입이 줄어 전달의 8억9천만달러 적자에서 27억9천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서비스수지는 여행수지가 7년6개월 만에 처음으로 흑자로 돌아선데 힘입어 적자 규모가 전달 12억 4천만 달러에서 5천억 달러로 크게 감소했다. 여행수지는 지난달 5억 달러 흑자로 전환해 2001년 4월(3천만 달러 흑자) 이후 처음으로 흑자를 냈다.
경상이전 수지도 환율 상승으로 재외 교포들의 국내 송금이 늘면서 전달 2천만 달러 적자에서 7억7천만 달러 흑자를 냈다.
자본수지는 금융기관들이 해외 차입금을 대거 상환하면서 순유출 규모가 전달 47억8천만달러에서 255억3천만 달러로 확대돼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