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질 국민 총소득(GNI)이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동기 대비 경제성장률도 3.8%를 기록해 3년여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에 머물렀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08년 3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3분기 실질 GNI는 전기대비 3.7% 감소해 1998년 1분기(-9.6%) 이후 최악의 수준을 나타냈다. 작년 동기 대비로도 3.5% 감소했다.
실질 GNI는 생산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소득지표다. 이 지표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구매력이 떨어져 국민의 체감 경기와 호주머니 사정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 총처분 가능소득은 전기 대비 0.4%가 감소해 98년 3분기의 -1.0%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3분기 국내 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0.5%, 작년 동기 대비로는 3.8% 증가해 지난10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각각 0.1%포인트 낮아졌다.
GDP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제조업은 반도체, 자동차 등이 부진하면서 전기대비 0.3% 성장에 머물렀고 전분기 -2.4%를 기록했던 건설업은 전기대비 0.9% 성장했다.
민간소비는 자동차 등 내구재에 대한 지출이 감소하고 금융 및 보험, 통신 등 서비스 소비 지출이 부진하면서 전기 대비 0.1% 증가에 그쳤다.
설비투자는 일반기계 등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2.1% 증가했고 재화수출은 자동차, 반도체 등이 부진해 전기대비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