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여대 생명공학과 김해권 교수팀은 연세대의대 이은직(내과)ㆍ김경식(외과) 교수, 건국대 임현정 교수, 인제대 강성구 교수팀과 공동으로 쌍꺼풀 수술 뒤 버리는 눈꺼풀 지방 성체줄기세포를 인슐린 분비세포로 분화해 이를 제1형 당뇨쥐에 이식한 결과 당뇨가 치료됐다고 19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줄기세포 분야 권위지로 꼽히는 `스템셀즈(Stem Cells)' 정식 출간에 앞서 온라인판에 공개됐다.
이 논문에 따르면 쥐에 주입된 사람의 세포에서 직접 인슐린이 분비돼 생쥐의 당뇨병이 치료됐다.전 세계적으로 사람의 성체줄기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직접 실험동물의 당뇨병을 치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상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는 당뇨병 쥐 20마리에 사람 인슐린 분비세포를 이식한 결과, 10마리에서 당뇨가 치료되는 효과를 나타났고 나머지 10마리는 나타나지 않았다.
살아남은 10마리의 혈액에서는 사람의 인슐린만 발견됐다. 이들 중 2마리는 1년 반 이상 면역거부반응 없이 혈당이 정상으로 유지된 채 수명을 채웠다.
반면 인슐린 분비세포를 주입하지 않은 쥐들과 지방줄기세포 자체를 주입한 쥐들은 당뇨 증상이 개선되지 않았다. 실험과정 중에 모두 폐사했다.
이번 연구 결과가 정상 생쥐에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고 얻어 낸 것이어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사람의 당뇨병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눈꺼풀 지방줄기세포를 인슐린 분비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국내특허를 등록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