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 “무료통화권으로 보상해 준다는 달콤한 속삭임에 60만 원 상당의 최신형 휴대폰을 구입했지만, 발행업체가 부도나는 바람에 무료통화권은 휴지조각이 돼버렸습니다”
이벤트 경품이나 판촉용 사은품으로 많이 쓰이는 무료통화권이 무용지물이어서 소비자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휴대폰 내비게이션 차량용 블랙박스등을 판매하며 기기값에 해당하는 무료통화권을 주겠다고 소비자들을 달콤하게 유혹하지만 정작 통화가 되지 않거나 통화가 되더라도 일반 통화요금의 2~3배에 해당하는 비싼 과금체계로 사실상 바가지를 씌우고 있다.
게다가 무료통화권 발행 업체가 대부분 영세해 통화품질이 엉망이거나, 부도날 경우 아무런 보상조차 받을 수 없다. 결국 무료통화권이 판촉을 위한 사기성 상술의 달콤한 수단으로 사용돼 소비자들을 우롱하고 있는 것이다.무료통화권은 별정통신업체가 자본금의 25%만 보증보험료로 납부하면 누구나 발행할 수 있다. 때문에 업체들은 100억 원대까지 무료통화권을 발행한 후 회선부족을 빌미로 저급한 통화품질과 폐업으로 소비자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시중에 유통되는 무료통화권 중 전체의 40%가 불량이며 피해액 또한 2007년 한해에만 7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 사례 1= 부산시 연산동의 박 모(남. 50)씨는 ‘Phone Save'방식으로 90만원의 무료통화권을 지급한다는 안내에 오션블루의 89만6000원짜리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입했다. 공짜나 다름없다고 생각했다.
박 씨는 'Phone Save'의 사용 방식이 불편해 영업사원에게 호소했고 '보험 Save'의 방식으로 변경하길 권유 받았다. '보험 Save'란 매년 9만 원정도의 보험료를 10년간 지원해주는 제도.
하지만 업체로부터 처음 두 달간 사용한 5만9000원의 무료통화를 지원 받은 것이 다였다. 다음 지원금을 받기로 한 약속이 이행되지 않은 것.
본사에서는 “담당자가 외근 중”이라며 감감무소식이었다. 그제야 ‘아차’싶었던 박 씨는 “무료통화권에 현혹돼 블랙박스를 공짜로 생각했던 것이 화근이 될 줄이야”며 후회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이 사실 확인에 나서자 오션블루 관계자는 “박 씨를 담당했던 직원이 퇴사한 상태다”라며 책임을 회피했다.# 사례 2= 고양시 행신동의 조 모(남. 33)씨는 지난해 ‘관리비 80만원만 내면 10년 콘도 회원권을 준다. 또 관리비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1년간 무료통화권을 주겠다’는 전화에 솔깃해 회원가입 후 80만원을 결제했다.
그러나 무료통화권이 말썽이었다. 10번 중 8번은 신호만 갈뿐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았던 것. 콘도를 안내했던 대리점 측은 조 씨가 항의하자 ‘무료통화 1년 연장’책으로 무마코자했다.
하지만 최근 조 씨는 지난해 콘도에 가입했었던 대리점이 문을 닫았음을 알게 됐다. 이에 1년 연장된 무료통화권을 본사에 요청했지만 직원은 “대리점과 계약은 책임지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조 씨는 “콘도 회원권을 팔기위해 잘 되지도 않는 무료통화권이란 사탕발림으로 소비자를 현혹한 뒤 책임을 회피하다니 어이가 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이 현대스카이콘도 측에 내용확인을 요청했고, “남은 금액을 1년 더 사용할 수 있게 조치했다”란 답변을 이끌어 냈다.
# 사 례 3= 경북 영주시에 살고 있는 김 모(남.40세)씨는 4월 M코리아란 업체로부터 “휴대폰 요금을 자신들 회사에 카드로 자동납부하게 해주면 최신형 내비게이션을 선물로 주겠다”란 안내전화를 받았다.
일주일 뒤 직원은 김 씨에게 무료통화권을 권유하며 카드론 480만원을 받아 한 번에 구매할 시 수수료와 세금감면의 혜택, 그리고 30만 원가량의 후방카메라까지 설치해준다고 유혹했다. 물론 카드론 이자 감면은 말할 것도 없었다.
나쁘지 않은 조건이란 생각에 김 씨는 직원의 제의를 수락했다. 모든 절차가 끝난 뒤 김 씨는 인터넷을 통해 M코리아를 검색했다가 경악했다. 회사는 검색되지 않았고, 비슷한 유형의 사기피해 사례만이 검색된 것.
당황한 김 씨는 계약해지를 요구했지만 직원은 “480만원의 27%를 위약금으로 물어야 한다”며 “다른 방법으로 내비게이션 120만원, 500분 무료통화권 21만원을 차감한 돈을 환불해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찝찝함을 해소하기 위해 김 씨는 조건을 받아 들여 나머지 금액을 입금해 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직원은 입금을 차일피일 미루더니 이제는 ‘그런 말 한 적 없다’며 발뺌하고 나섰다.
김 씨는 “내비게이션을 빌미로 무료통화권을 팔아먹고 청약철회 요청에 환불조차 하지 않는 사기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사진출처-SBS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