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계에서 차지하는 통신비 지출 비중이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2일 30개 회원국의 방송통신 동향을 분석해 발간한 `커뮤니케이션 아웃룩' 분석 결과 한국과 포르투갈의 통신비 지출은 각각 GDP의 4.5%, 5%로 OECD 국가들 중 가장 높았다.
2007년 현재 OECD 30개 회원국의 평균 통신비 지출은 GDP의 2.92%였다. 모바일 시장이 확대되기 시작하는 90년대 초에는 통신비 지출이 GDP의 2% 비중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3%를 넘어서다 2006년부터 2%대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가구당 통신비 지출액은 2007년 641달러였다. 2년전 661달러보다 다소 떨어졌으나 한국은 550달러에서 633달러로 오히려 올랐다. 이같은 액수는 우리나라보다 GDP가 높은 이탈리아(405달러), 스웨덴(413달러), 독일(568달러)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통신비 비중이 가장 낮은 국가는 룩셈부르크와 노르웨이로 1.4%였다. 한국이 이들 국가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통신비를 부담하는 셈이다.
그러나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요금할인과 결합판매 등을 통해 모두 1조147억원의 가계통신비 절감효과가 발생했다며 가계소비지출에서 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