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이 확인되면서 소프트웨어 보완, 점검 기간을 거쳐 이르면 오는 26일로 잡힌 발사 예비기한 내 재발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과학기술부 김중현 제2차관은 20일 오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브리핑에서 "한국-러시아 비행시험위원회는 전날 밤늦게까지 원인분석을 통해 자동시퀀스 상 고압탱크의 압력 측정 관련 소프트웨어에 오류가 있음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러 기술진들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오류가 발사체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는데 하루에서 사흘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발사 일정에 대해 김 차관은 "앞으로 소프트웨어 수정과 점검, 발사체 상태점검 및 기상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발사상황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할 계획"이라며 "오류 부분의 보완을 순조롭게 진행시켜 오는 26일 이전에 재발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어 "나로호는 현재 기립된 상태로 하드웨어는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며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발사대시스템은 기상악화의 영향이 없는 한 앞으로도 5∼6일 동안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