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대책이 실생활과 거리가 멀다는 불만이 많았다.
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서민생활 안정대책에 대한 국민 의견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7월9일~17일)를 한 결과 정부의 서민 대책에 대해 응답자의 60.4%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부정적'이라는 답변 가운데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가 18.0%, '부정적으로 평가'가 42.4%로 집계됐다.
'긍정적'이라는 답변은 전체의 38.0%로 나타났다.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는 3.4%에 불과했고, '긍정적으로 평가'가 34.6%였다.
20대의 72.4%, 대학 재학 이상의 68.5%, 사무.관리.전문직의 70.5%, 광주.전라도의 74.0%가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그 이유로는 응답자의 49.4%가 '실제 효과가 있는 정책들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정책 의지가 부족했다'(30.5%), '관련 정책 내용이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다'(13.2%), '해당 정책의 효과가 실제로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부족했다'(6.0%)이 뒤를 이었다.
서민 대책 가운데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것은 '유가환급금 지급'(22.6%)이었고 '일자리 나누기 지원'(16.4%), '긴급 생계지원'(15.6%), '희망근로 프로젝트'(8.4%), '물가 안정과 보금자리 주택보급 확대'(7.6%)순으로 나타났다. '좋은 대책이 없었다'는 답변도 19.2%나 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