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때문에 금세기 안에 한국에서 겨울이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
6일 기상청 기후변화감시센터에 따르면 지구온난화 현상이 계속될 경우 2071~2100년 사이에 태백산과 소백산 인근 내륙지역을 뺀 남한의 모든 지역이 아열대 지역으로 바뀔 것으로 관측됐다.
기후변화감시센터의 예측에는 나름대로 근거가 있다.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동안 관측한 기온의 평균값과 수치예측 모델을 통해 산출한 기온 증가치를 근거로 이같은 추정을 했다.
기상청은 30년 평년값을 토대로 전남 목포에서 부산에 이르는 남해안 지역을 아열대 지역으로 분류해 놓고 있다.아열대 기후는 월평균 기온 10도 이상인 달이 8개월 이상이다.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8도 이하인 상태를 의미한다.
아열대 기후로 바뀌면 왕벚나무의 서식지가 고산지대에 국한되며 사과, 감귤, 대나무 주산지가 지금보다 훨씬 북상한다.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지는 한반도의 계절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겨울은 1990년대 들어 1920년대에 비해 한 달 정도 짧아졌다. 반면 여름은 20일 안팎 늘어났으며 봄꽃의 개회 시기도 앞당겨졌다.
한반도 북쪽의 여름철 강수량 증가량도 남쪽에 비해 클 것으로 예측됐다.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온도가 지금보다 2~4도 상승해 2005년 8월 미국 뉴올리언스를 강타해 1천600여명의 사망자를 낸 카트리나와 같은 슈퍼 태풍이 한반도에도 불어 닥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