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복제휴대폰 대수가 상반기에만 279대에 달하는 등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안형환 의원(한나라당)은 6일, 방통위로부터 최근 3년간 이동통신 3사의 FMS(복제탐지시스템) 검출현황과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 이후 올 6월까지 불법 복제 휴대전화 적발실적이 총 1천799대 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복제 휴대폰 단속건수는 2007년 1천405대(96건)에서 복제가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3G 핸드폰 출시 이후인 2008년에는 115대(70건)로 대폭 줄었으나, 2009년 상반기에 279대(26건)로 다시 증가 추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이동통신 3사는 FMS(복제탐지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2008년 하반기에만 1천519대에 달하는 복제의심 휴대폰이 검출됐다. 통신사별로는 LGT가 597건으로 가장 많았고, KTF 552건, SKT 370건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시스템은 다른 지역에서 통화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이동이 불가능한 각 장소에서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통화가 발생한 경우, 휴대폰이 복제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하고 고객에게 통보해 준다.
하지만 명세서를 잘 살펴보지 않은 고객들은 복제 휴대폰을 통해 소액결제나 통화가 이뤄져 요금이 과다 청구된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복제폰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요금이 과다 청구되거나, 통화 중 끊김, SMS수신이 잘 안 되는 경우, 휴대폰이 꺼져있음에도 신호가 가는 경우엔 복제를 의심해 봐야 한다.(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