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10대 기업 그룹들이 3세 경영체제에 들어 가면서 계열회사 최고경영자(CEO)도 갈수록 젊어지고 있다.서울대 출신 CEO 수도 감소하고 있다.
재계 전문 사이트 재벌닷컴은 지난 6월말 현재 10대 그룹(삼성 현대차 SK LG 롯데 GS 현대중공업 금호 한진 두산)계열사 사장급 이상 CEO(총수 가족 제외) 471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10대 기업 그룹 CEO의 평균 연령은 55.6세로 작년 55.9세에 비해 0.3세 줄었다.
그룹별로 보면 한진이 작년 평균 57.3세에서 올해 55.8세로 1.5세가 줄었고 삼성은 57.5세에서 56.8세로 0.7세, 현대차는 56세에서 55.6세로 0.4세 젊어졌다.
반면 금호아시아나는 작년 58.9세에서 올해 59.6세로 오히려 0.7세가 높아졌다. 현대중공업과 두산도 각각 0.6세와 0.3세가 많아졌다.
SK는 평균52.9세로 CEO 평균 나이가 가장 많은 금호아시아나와 견줘 7세 가량 벌어졌다.
LG의 평균 나이도 53.9세로 집계됐다.
10대 그룹 CEO 출신 대학별로 서울대는 작년 26.9%에서 올해 26.2%로 0.7%포인트 감소했다.
연세대 출신은 작년보다 0.9% 포인트 증가한 13.3%, 고려대 출신은 1.0% 포인트 늘어난 11.2%로 집계됐다. 지방대 출신도 작년 14.8%에서 올해 15.6%로 0.8% 포인트가 상승했다.
LG의 경우 서울대 출신 CEO가 작년 47.2%에 비해 올해 43.1%로 즐었다. 이어 현대중공업(37.5%), 현대차(36.7%), SK(30.9%) 순으로 서울대 비중이 높았다. 삼성은 28.4%에서 올해 23.2%로 감소했다.
고려대 출신 비중은 GS가 24.5%로 10대 그룹 중 가장 컸다. 연세대 출신도 GS가 22.4%로 가장 많았다.
지방대 출신 CEO는 LG가 작년 9.4%에서 올해 15.5%로 증가했으며 두산도 작년 5.1%에서 올해 12.8%로 늘었다.반면 현대중공업은 작년 25.0%에서 올해는 12.5%로 절반이나 줄었다.
전공별로 이공계 출신이 작년 35.2%였으나 올해는 35.9%로 다소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