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수 대상 위해 식품 1천600t이상의 회수율이 1%를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9%이상이 소비자 입으로 들어가는 셈이다.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이정선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위해식품 회수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5년 이후 회수대상 식품 약7천793t 가운데 약 20%에 해당하는 1천636t의 회수율이 1% 이하에 머물렀다.
이 가운데 339t은 전혀 회수되지 않고 전량 소비자들의 입으로 들어갔다.
올 들어 식중독균 바실러스세레우스이 기준치를 초과한 도시락 7천250㎏, 대장균이 검출된 우뭇가사리 묵 160㎏, 이산화황이 초과 검출된 죽순 3천852㎏이 전혀 회수되지 않았다. 발암물질인 사이클라메이트가 검출된 죽엽주도 수입량 2천204㎏ 가운데 겨우0.05%만 회수됐다.
지난해에는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기준치를 초과한 쌀국수 1만6천228㎏이 모두 소비자 입속으로 들어갔다.
연도별 회수율은 지난 2007년 9.9%에서 지난해 26.5%로 크게 개선됐다. 올해 2분기까지 36.6%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수준(약 36%)으로 향상됐다고 이 의원은 설명했다.
이 의원은 "식품 회수실적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약 20%의 위해식품은 여전히 매우 저조한 회수율을 보이고 있는 만큼 사후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