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사실을 모르고 약물을 복용했다가 인공중절 수술을 하는 경우가 임산부의 1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 심재철(한나라당) 의원이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임신 초기 약물에 노출된 여성을 분석한 결과 미혼여성은 12.6%, 기혼여성 9.6%가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빈번하게 섭취한 약물은 소화기계 약물로 23.1%였으며, 이어 소염진통제(17.8%), 항생제(12.3%), 호흡기계(10.0%), 항히스타민제(8.3%)가 뒤를 이었다. 임산부가 복용한 70%의 약물은 기형유발이 우려되는 중추신경계나 내분비계, 심혈관계, 비타민A계와는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물 섭취를 이유로 중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 의원은 연간 총 9만6천건의 유산이 임신 중 약물 노출로 인한 것으로 추정했다.
심 의원은 "저출산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마당에 약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으로 임신중절이 일어나고 있다"며 “정부가 해당 약물의 위해성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