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병원의 약품 납품가격 차이가 최대 100배로 벌어져 있는 것으로 드러나 '약값 뻥튀기' 논란이 일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최영희 의원(민주당)은 49개 국공립병원의 의약품 입찰현황을 분석한 결과 낙찰가격이 건강보험 약값의 최저 40.3%에서 100%로 평균 2배 이상의 편차가 있다고 6일 밝혔다.
경기도의료원(의정부, 파주, 포천)은 건보 약값의 40.3% 가격에 약을 구입했고 서울대병원은 70% 가격에 낙찰됐다. 반면 적십자병원 4곳 등 6개 병원은 건보 약값의 100%를 모두 준 것으로 조사됐다.
최 의원은 "일부 공공병원이 약을 싸게 사려는 노력을 아예 하지 않았거나 약값 차액을 '뒷돈'(리베이트)으로 받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의약품의 경우 병원에는 헐값에 납품되면서도 병원 내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아 제약회사들이 외래환자들에게 약값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H제약사가 판매하는 혈압약의 건강보험 등재 약값은 282원이지만 서울대병원은 이 약을 37원(13.1%)에 납품받았다. D제약사의 뇌혈관개선제도 공식적인 약값은 715원이었지만 제약사는 이 약을 약값의 1%인 단 돈 8원에 공급했다.
병원에서 이 약을 처방받은 외래환자는 약값의 100%를 모두 내야 한다.
다시 말해 제약회사들이 병원 내부용보다 외래 처방이 훨씬 많은 점을 게산해 병원에 헐값에 납품하는 대신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래환자들에게 그 부담을 떠안겨 폭리를 챙기고 있다게 최의원의 지적이다.
최 의원은 "병원에는 약을 싼값에 팔고 환자들을 대상으로 벌충을 하는 제약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이 국공립병원에서도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