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유성용 기자]날씨가 겨울 모드로 급변하고 있다. 쌀쌀한 바람이 거세지면서 동장군의 습격을 예고하고 있다. 순식간에 지나는 가을, 겨울철 차량 관리를 미리 해놓지 않으면, 가뜩이나 추운 겨울을 차량의 신음소리와 함께 보내게 될지도 모른다.
겨울 대비한 차량 관리 요령을 알아보자.
우선 연료를 가득 채울 때 연료탱크에 수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연료필터 패킹을 관리해야 한다. 디젤차량의 경우 연료필터내의 수분이 얼어붙어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난 여름 과열된 엔진을 식히기 위해 냉각수로 물을 많이 보충했다면 반드시 농도를 점검해야 한다. 부동액 비율이 낮아 겨울철 영하의 날씨에 냉각수가 얼어붙게 되면 엔진과 라지에이터에 치명적인 결함이 생길 수 있다. 냉각수는 2년마다 완전히 물을 빼고 다시 채우는 것이 좋으며, 부동액과의 혼합비율은 50:50이 가장 좋다.
겨울철이라고 워셔액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편견을 버려라. 겨울이 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앞 유리 표면에 얼어붙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워셔액을 사용해 해동시킬 수 있다. 만약 얼어붙은 와이퍼를 무리하게 작동시킬 경우 블레이드 뿐 아니라 와이퍼 모터까지 파손될 수 있다. 워셔액은 여름이나 가을에 그대로 사용한 것 보다는 겨울용을 따로 넣는 것이 좋다.
히터와 서리제거장치는 겨울철 없어서는 안 될 중요 장치다. 히터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라디에이터 팬 센서나 릴레이를 점검해야 한다. 히터 바람이 따뜻하지 않거나 예열시간이 길 때는 정비소에 가서 서머스텟을 점검해볼 필요도 있다.
차량을 구입하고 3번째 겨울을 맞이한다면 배터리를 교환하는 것이 좋다. 자칫 언제 어디서 시동이 걸리지 않는 차를 세워두고 추운 날 꽁꽁 얼어붙은 발을 동동 구르게 될지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타이어가 낡았다면 첫 눈이 오기 전이 교체 타이밍이다. 스노우타이어로 유난 떨 필요는 없으며 보통 4계절용 타이어를 쓰면 된다. 체인세트 구비는 두말하면 잔소리.
부품 정비 외에도 겨울철 차량 관리 용품을 구비해 두는 것이 좋다. 체인 대용품인 스프레이 체인, 한 번 사용으로 일주일 효과가 지속되는 김서림 방지제, 얼어붙은 차량 문과 안테나 등을 급속히 녹일 수 있는 성에 방지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