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만드는신문] 어느 날 갑자기 바지가 맞지 않아서 문득 살을 빼야겠다는 생각이 들면 그 좋아하던 초콜렛, 쿠키, 카페모카 등을 단번에 끊는 놀라운 능력이 생긴다.
그러나 이렇게 식이 제한을 며칠 하다보니 마치 입덧을 하는 것처럼 단 것이 너무너무 먹고 싶어지고,거기다 이 같은 노력을 앞으로 수개월 동안 더 해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자 다이어트 자체에 회의가 들면서 단것에 대한 갈망이 더욱 커진다.
그렇지만 살찔 걸 생각하니 초콜렛 같은 것은 아무래도 안되겠고 대신 뭘 먹으면 좋을까 하는 고민을 한다. 이 때 무엇을 먹으면 좋을지만 고려해도 될까?
영양구성성분에 따라 체지방으로 전환 정도가 다르긴 하지만 최소한 적정 칼로리를 넘기지만 않는다면 다이어트 중이라고 해서 절대 먹어서는 안될 음식은 없다. 칼로리로만 보자면 초콜렛 한 조각을 먹는 것 보다 바나나를 3~4개 먹는 것이 더 나쁘다.
'탈억제' 라는 것이 있다. 다이어트 중인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두 그룹에게 밀크쉐이크를 마신 후 아이스크림을 먹게 하는 실험을 했더니 다이어트 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은 아이스크림을 거의 먹지 않았지만 다이어트 중인 사람들은 밀크쉐이크를 충분히 먹은 후에도 아이스크림을 많이 먹었다고 한다.
식이 제한 중에는 반동으로 음식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기 때문에 약간의 음식 섭취가 과식이나 폭식으로 이어지기 쉽다는 것이 탈억제 이론이다. 이 이론을 따른다면 음식에 대한 갈망이 생길 때 정말 고민해야 할 것은 무엇을 먹을까가 아니라 먹기 시작해서 멈추지 못할 것에 대한 걱정 그래서 조금만 먹을지 아니면 아예 먹지 말지 하는 문제이다.
다행히 이런 반동 현상이 모든 식이제한자들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탈억제 경향이 높은 사람은 음주나 스트레스, 회식 같은 탈억제를 조장하는 상황을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고 이런 상태에서 자신을 조절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교육이나 상담이 필요하다.
도움말=365mc 비만클리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