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이 8개월 연속 급증하면서 지난달 사상 최대치에 육박, 이번 달이면 경신이 유력해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10월 말 외환보유액이 2천641억9천만 달러로 전월말보다 99억4천만 달러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사상 최대치였던 작년 3월 말의 2천642억5천만 달러 이후 1년7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월중 증가액은 지난 5월의 142억9천만 달러와 2004년 11월의 142억1천만 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이며, 지난 3월 이후 8개월간 증가액은 626억5천만 달러에 달하고 있다.
한은은 외환보유액 증가가 운용수익과 유로화.영국 파운드화 등의 강세에 따른 미 달러화 환산액의 급증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국환평형기금의 외화유동성 공급자금 중 만기도래분의 회수와 국민연금의 통화스와프 만기도래분 상환분 8억 달러 등도 외환보유액 증가에 일조했으며 외환당국의 달러화 매수 개입 역시 한몫을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운용수익 등 기본적인 증가 요인이 있기 때문에 유로화가 크게 약세를 보이지 않는다면 외환보유액이 다음 달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며 "다만 유로화와 엔화 등 기타통화의 시세를 알 수 없기 때문에 2천700억 달러 대 진입 여부를 확답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 2천361억2천만 달러(89.4%), 예치금 232억 달러(8.8%), SDR 37억9천만 달러(1.4%), 금 8천만 달러(0.03%)로 구성돼 있다.
9월 말 기준으로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중국 2조2천726억 달러 ▲일본 1조526억 달러 ▲러시아 4천134억 달러 ▲대만 3천322억 달러 ▲인도 2천803억 달러에 이어 세계 6위를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