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에 따르면 5만원권 발행 잔액은 지난 6일 기준으로 7조9천600억원에 이른다. 이는 전체 은행권 발행 잔액의 약 23.9%를 차지한다.
발행 장수도 5만원권은 1억5천800만장으로 1만원권(22억9천600만 장)이나 1천원권(12억1천700만 장)과 비교하면 적지만, 5천원권(2억780만 장)과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시중에 풀린 지폐 가운데 4.0%가 5만원권인 셈이다.
그러나 5만원권 유통이 늘면서 각종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5천원권과 색상이 비슷해 피해를 입는다는 불만이 많다.
'택시요금을 5천원권인줄 알고 줬는데 나중 보니까 5만원권이었다' '물건을 팔면서 5만원권을 5천원권으로 잘못 알고 거스름돈으로 내줬다' 는등등의 불만이 포털등 인터넷에 터지고 있다.
단순 실수도 문제지만 5만원과 5천원권이 비슷한 점을 노린 `지폐 바꿔치기' 도 벌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한국은행 측은 이런 문제에 대해 별도의 대책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과거 1천원권과 1만원권이 헷갈렸다는 지적을 염두에 두고 5만원권 제작 단계부터 여러 가지 식별 장치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5만원권은 황색이고, 5천원권은 적황색으로 색상이 엄연히 다른 데다 길이도 12㎜ 차이 나고 도안이나 식별 장치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며 "미국 달러화는 모두 같은 색상이지만 크게 헷갈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