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업체들이 신제품 출시 때마다 가격을 대폭 인상하면서 시중 휴대폰의 절반이 50만원 이상 '고가폰'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시장을 분할 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가파르게 가격을 올려 고가폰 경쟁에만 치중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1일 휴대전화 대리점등에 따르면 현재 판매 중인 휴대전화는 삼성전자, LG전자, 팬택계열 등 국내 3사를 합쳐 모두 106종으로 이중 출고가격 50만원 이상의 고가폰이 전체의 46.3%를 차지했다.
전체 판매 제품에서 50만원 이상 고가폰의 비중은 11월 기준으로 2007년 32.6%에서 지난해 38.4%로 상승한 뒤 올해는 50%로 풀쩍 뛰었다.
제조사별로 보면 삼성전자가 50만원대 11개, 60만원대 9개, 70만원대 2개, 80만원대 3개, 90만원대 4개, 100만원 이상 3개 등 61개 판매 제품 중 52.5%인 32개가 50만원 이상이었다.
'조르지오 아르마니폰'(130만원대), '아몰레드12M'(110만원대), 'T옴니아'(100만원대) 등은 100만원이 훌쩍 넘었고, 'T옴니아2'(90만원대), '햅틱온'(80만원대) 등도 80만원 이상인 고가폰으로 꼽혔다.
2년 전만 해도 삼성전자의 휴대전화중 80만원이 넘어가는 것은 '슈퍼뮤직폰' 1개였다. 70만원대도 'SCH-W200' 밖에 없었지만 불과 2년 새 70만원이 넘는 휴대전화 제품이 10여개 이상 늘어난 셈이다..
LG전자는 현재 판매 중인 28개 제품 중 46.4%인 13개 제품이 50만원 이상으로 조사됐다.
'명품폰'의 대명사 '프라다2'가 180만원으로 국내 출시된 휴대전화 중 가장 비쌌고, '뉴 초콜릿폰'과 '프라다1'도 가격이 거의 90만원에 육박했다.
팬택계열의 경우 '듀퐁폰'(90만원대), '큐브릭'(70만원대) 등 8개 제품에 50만원 이상으로 고가폰 비중이 47.1%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조업체들은 풀터치스크린폰이나 스마트폰 등 기능을 대거 향상시켜 가격 인상은 불가피한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