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회복세가 신종플루도 비껴갔다. 신종플루가 맹위를 떨쳤던 지난 8월~10월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이 두자리수로 급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신종플루의 특성상 많은 사람이 모이는 백화점.대형마트가 '기피시설'로 부각돼 매출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
하지만 지난 8월~10월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은 두자리수의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신종플루도 소비회복세에 브레이크를 걸진 못한 것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14.3% 늘었다. 분야별로도 화장품과 해외명품, 아웃도어, 여성 등 전분야의 판매가 11.1∼25.1%씩 증가했다.
신종플루 사망자가 총 10명이 넘으면서 신종플루 대유행이 가시화됐다는 전망이 나왔던 9월에도 백화점 매출은 오히려 늘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의 신장세를 기록했다. 매일 1∼2명씩 사망자 소식이 전해졌던 지난달에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2%가 늘어나는 기록을 세웠다.
신세계백화점도 신종플루로 인한 사망자가 없었던 7월의 작년 대비 매출 증가율은 18%에 그친 반면 신종플루가 맹위를 떨쳤던 8, 9, 10월엔 각각 24.2%, 33%, 37%를 기록했다.
현대백화점도 7%(8월) → 9.5%(9월) → 11.5%(10월) 등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또 대형마트인 이마트 매출은 8월∼10월 작년 동기보다 7.1%∼12.9%, 롯데마트는 8.1%∼19.1%가 증가했다. 오히려 신종플루를 예방하기 위해 홍삼 등 건강상품 등을 구매하러 온 소비자들로 매출이 늘어나는 의외의 소득이 있었다고 업체 관계자는 전했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에선 소비심리 회복이 신종플루를 눌렀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경기회복세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기 시작하면서 신종플루의 악영향 속에서도 매출이 오히려 늘었다는 것.
백화점 "남녀정장, 가전 등과 같이 불황기에는 매출이 저조한 부문의 매출이 늘고 있어 소비심리가 확실히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