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협회가 최근 2008년도 자동차보험 음주사고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사고 건수는 3만4천150건으로 전년(3만4천481건)에 비해 약간 줄었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25∼29세)이 5천681명으로 가장 많았고 35∼39세 5천287명, 40∼44세 4천891명, 45∼49세 4천851명 순으로 집계됐다.
25∼49세가 75%에 달했고 60대(1천176명,3.4%)와 70세 이상(147명, 0.4%) 고령층도 제법 있었다. 19세 이하 미성년자도 190명(0.6%)에 달했다.
음주운전 사망자 수는 483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25∼29세 운전자 낸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는 86명, 20∼24세는 57명으로 20대 운전자 사고 비중이 30%에 육박했다. 이어 45∼49세가 74명, 35∼39세와 40∼44세는 각각 64명씩이었다.
요일별 음주사고 건수는 토요일이 6천292건, 일요일이 5천485건으로 주말이 많았고 월요일에는 3천599건으로 가장 적었다.
시간대별로 저녁 9∼11시가 8천874건, 0∼2시가 8천271건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아침 출근시간대인 아침 6∼8시도 2천941건이나 됐다.
지역별로 인구 10만명 당 사망자 수가 경북이 2.5명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2.3명), 전북(2.2명), 강원(2.0명) 순이었다.
서울은 0.2명으로 가장 적었고 대전(0.3명), 부산(0.4명), 인천(0.4명), 대구(0.5명) 등 대도시도 음주 사고에 의한 사망이 많지 않았다. 제주와 경기도 0.7명씩에 그쳤다.
음주사고 부상자 수는 강원이 124.8명으로 최다였고 충남(104.6명), 경북(103.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