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총수인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조직문화 쇄신을 언급하면서 '나이 많은 노인'을 쇄신 대상으로 언급한 발언을 놓고 삼성그룹 내부에 파문이 일고 있다. 더우기 이번 발언이 연말 인사철을 앞두고 나와 나이 많은 경영진을 쇄신하려는 의도된 발언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2일 삼성에 따르면 이 회장이 지난달 12일 멕시코 출장을 위해 출국할 때만 해도 젊은 조직 문화 언급이 원론적 얘기이거나 물리적 나이가 아닌 '창의적 조직문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분위기가 많았으나 지난달 30일 귀국하면서 '젊은 리더'를 재차 강조하자 의도된 발언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우세하다.
특히 이 회장이 "나이많은 노인은 안맞죠"라고 언급한 부분을 충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 회장은 출국길에서 언급했던 '젊은 조직론'이 연말에 대폭적인 쇄신인사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큰 폭이라기보다는..21세기는 세상이 빨리 바뀌기 때문에 판단도 빨리 해야 하고 그래서 젊은 사람이 조직에 더 어울린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모든 리더는 젊음 외에도 리더십과 창의력이 있어야 하고, 21세기 새로운 문화에 적응을 빨리, 잘 해야 한다"며 "그래서 젊은 사람이라야 맞지. 나이많은 노인은 안맞죠"라고 피력했다.
이 회장이 언급한 '노인'이 몇 살 이상을 의미하는 것인지를 놓고는 해석이 분분하다.
현재 삼성 사장단의 평균 연령은 재작년과 작년 잇따라 쇄신형 인사를 단행한 결과로 53.7세까지 낮아졌다.
삼성은 재작년 인사에서 61세 이상의 CEO를 퇴진시킨 바 있으며 작년 인사에서는 50대를 사장단의 주력으로 포진시켰다.
만약 이 회장의 발언이 올해 42세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사장의 사장 승진을 염두에 두고 나온 것이라면 올해 임원 인사에서는 삼성 사장단의 평균 연령이 지금보다 더 낮아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40대 초반의 '젊은 오너 사장'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삼성 사장단의 연령대를 파격적으로 낮추거나 40대 임원의 대거 발탁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높다.
삼성 사장단의 평균 연령은 53.7세지만 60살이 넘거나 60살에 가까운 평균 연령 이상의 CEO들이 이번 쇄신 인사 대상이 되지 않겠느냐는 섣부른 관측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