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는 계열사의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을 하는 행복나래가 최근 정관 개정 등 사회적 기업 전환 작업을 매듭지었다고 20일 밝혔다.
행복나래는 앞으로 약 6개월여 동안의 사회적기업 경영활동 등 법적요건을 갖춘 뒤 고용노동부의 인증절차를 거쳐 정식 사회적기업이 된다. 연간 매출 1천200억원 규모의 행복 나래는 수익금의 3분의 2 이상을 사회적 목적을 위해 사용하게 된다.
행복나래는 대기업의 경영모델을 결합시킨 국내 최대 규모의 사회적 기업이라고 SK는 설명했다. 현재 국내 640여개 사회적 기업의 평균 매출은 10억원 안팎이다.
앞서 SK는 MRO 사업으로 사회에 이바지하는 방안을 찾아보자는 최태원 회장의 제안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검토한 끝에 작년 8월 MRO코리아의 사회적 기업화를 결정한 뒤 전환 작업을 진행해왔다.
이와 관련, 최 회장은 최근 행복나래 출범과 관련한 내부 보고를 받고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SK의 담대하고 새로운 실험이 시작됐다"면서 "행복나래가 우리 사회의 행복을 키워나가는 행복 플랫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대성 행복나래 대표이사는 "행복나래를 국내 사회적 기업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플랫폼, 곧 사회적 기업을 돕는 사회적 기업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행복나래는 협력업체를 선정할 때 일반 기업보다 시장 경쟁력이 낮은 중소 사회적 기업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구매 우선순위를 높이는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들 기업에는 일반 기업보다 30일 먼저 현금으로 선결제 하는 시스템도 도입했다.
현재 20여 곳인 사회적 기업 협력업체를 50여곳으로 확대하는 한편 '사회적 기업 우선 구매액'도 올해 70억원에서 내년에는 100억원, 2015년에는 190억원으로 점차 높일 계획이다.
올해 편부모 가정, 고령자, 국제결혼 이민 여성 등 10여명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하는 등 취약 계층의 채용 인원도 지속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행복나래는 지난 16일에 정기 주주총회를 열어 전체 이사 7명 중 4명의 사외이사를 사회적 기업 분야 전문가 출신들로 선임해 투명하고 전문성 있는 지배구조를 갖췄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