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그룹(회장 김준기) 계열 동부제철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경영권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동부제철 채권단은 오는 7일 자율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사실상 동부제철의 경영권은 채권단 손에 넘어가는 셈이어서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등 대주주의 경영권이 얼마나 유지될 지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동부제철 채권단은 실사를 거쳐 이르면 9월 말께 회사측과 경영정상화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대주주와 일반주주의 감자비율을 다르게 하는 '차등 감자' 비율이 어떻게 적용될지가 관건이다.
동부제철은 산업은행이 주채권은행으로 정책금융공사, 수출입은행, 농협, 하나·신한·우리·외환은행 등 10개 채권금융기관이 있다.
채권단은 합의하에 오는 7일 동부제철의 회사채 만기도래분 700억 원에 대한 차환(기존 채권 상환을 위해 새 채권을 발행하는 것) 발행을 지원할 예정이다. 내달 26일 만기가 돌아오는 400억 원의 차환 발행도 문제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은 STX그룹과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차등감자를 단행했다.
STX 조선해양은 대주주 100대 1, 일반주주 3대 1의 감자가 이뤄졌다.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 등은 대주주 100대1, 일반주주 6대 1이었다.
동부제철은 김 회장의 장남 남호 씨가 8.8%, 김 회장이 4.8%, 장녀 주원씨가 1.5%의 지분을 갖고 있다. 차등감자가 적용될 경우 강덕수 전 STX그룹 회장처럼 경영권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편 동부제철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1년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부채가 2조6천억 원에 달한다. 그러나 지난해 1390억원 적자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65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