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중국은 세계 전자 쓰레기 처리장
상태바
중국은 세계 전자 쓰레기 처리장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11.19 1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이 세계에서 몰려드는 '전자제품 폐기물(e-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중국 광둥성의 구이위는 컴퓨터 본체와 전선을 녹여 금이나 철을 얻으려는 사람들로 인해 가스 버너에서 나는 매캐한 냄새가 가실 날이 없다. 이들이 텔레비전 브라운관의 유리 부분과 전자부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납 먼지도 끊이질 않는다.

   환경운동가들은 지난 5년간 전자 폐기물 처리장으로 전락한 중국의 환경 개선과 주민들이 처한 건강상의 위험을 막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e-쓰레기 처리장의 대표격인 구이위의 상황은 별다르게 개선된 바 없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서구 기업들이 개발도상국에 e-쓰레기를 수출하는 데 드는 비용은 자국 내에서 처리하는 비용보다 10배 이상 적다. 경제 논리에 충실한 이들 기업이 수출을 그만둘 리 만무한 셈이다.

   더군다나 중국 빈민층이 몇 푼이라도 벌기 위해 건강상의 위험을 무릅쓰고 이 같은 상황을 용인하면서 이들 기업의 중국에 대한 착취는 계속되는 현실이다. 이들은 적절한 보호장비도 없이 금, 은 등 돈이 될만한 부속물을 채취하기 위해 산성용액을 다루는 등 위험 물질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정확한 통계는 나와있지 않지만 매년 세계에서 발생하는 e-쓰레기 2천~5천만t 가운데 70% 이상이 중국에 버려지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은 지구 환경보호를 위한 유해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금지 및 그 처리에 관한 '바젤협약'(1992년 8월 발효) 서명국으로서 유해 폐기물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나 여전히 암거래를 통해 다량의 유해 폐기물이 밀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미국은 아직까지 바젤협약에 가입하지 않고 있다.

   또 유럽연합(EU)도 e-쓰레기 수출을 금지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법률 체계가 미비해 법적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한편 더 큰 문제는 중국 자체에서 나오는 전자 쓰레기의 양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 중국지사의 제이미 최는 지적했다.

   유독물질 제거 운동을 벌이는 최는 매년 중국 내에서 발생하는 전자 쓰레기의 양이 100만t에 달한다면서 이는 텔레비전 500만대와 냉장고 400만대, 세탁기 500만대, 휴대전화 1천만대, 컴퓨터 500만대를 모두 합한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미 환경단체 실리콘밸리 유독물질 방지연맹(SVTC)은 "중국 정부가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