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의 수소사업 진출은 최태원 회장이 강조하고 있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다.
SK㈜는 지난 1일 SK이노베이션과 SK E&S 등 관계사의 전문 인력 20여명으로 구성된 ‘수소 사업 추진단’을 신설했다.
2025년까지 총 28만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춘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내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2025년까지 약 30조 원의 순자산 가치를 창출할 방침이다.
SK㈜는 자회사인 SK E&S를 중심으로 2023년부터 연 3만톤 규모의 액화 수소 생산설비를 건설해 수도권 지역에 액화수소를 공급할 계획이다. 부생수소는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SK인천석유화학으로부터 공급받는다.
SK E&S는 블루수소 대량 생산 체제도 갖춘다. 블루수소는 수소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친환경 수소다. 연간 300만톤 이상의 액화천연가스(LNG)를 직수입하는 SK E&S가 대량 확보한 천연가스를 활용해 2025년부터 25만톤 규모의 블루수소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SK㈜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도 장기적으로 추진한다.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수소 공급 체계’를 완성하겠다는 것이다.
수소의 생산과 유통, 공급에 이르는 ‘수소 밸류체인(가치사슬)’도 통합 운영한다. SK에너지 주유소와 휴게소 등을 그린 에너지 서비스 허브로 활용할 계획이다.
SK 관계자는 “그룹 차원의 수소 사업 추진 결정은 투자 포트폴리오가 친환경으로 본격 전환한다는 의미”라면서 “그간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결집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